늘 변함없는 박채동씨의 거짓증거 저는 ‘인터넷에서 쓰는 별명이더라도 상대방이 그 별명에서 느끼는 의미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지금 {양무리 마을}에서 쓰고 계시는 ‘로빈슨 크루소’라는 목사님 별명이 아닌 그 이전 {양무리 마을}에서 쓰셨던 별명 ‘바로미’를 썼습니다. -> 예의를 갖춘 문장 같.. 교회문제자료 2019.03.09
[스크랩] 박채동님께서 영혼의 의사 책 내용을 잘 못 알고 계신 부분 --> 좁은 의미의 중생과 회심이 동의어? 피터 마스터스 {영혼의 의사}’에 적힌 연중론 프레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아래 ①에 적힌 “값진 생명의 씨앗”과 ④에 적힌 “새로운 본성”은 ‘동의어’입니다. ① 회심 1단계: 수태(초기중생) = 하나님만의 단독 순간 사역 = 하나님께서 예정된 자에게 ‘값진 생명의 씨앗’을 .. 교회문제자료 2017.08.31
[스크랩] 사계(박채동)께서 저의 글을 왜곡한 부분을 가볍게 터치하고 넘어갑니다. 토론이 되면 분명 그분이 나타나시는데, 늘 변함없이 상대의 글을 이상하게 왜곡을하는 모습이 여지없이 포착되었습니다. 이 분은 어째 나오는 말마다 이리 왜곡인지.. 참 불쌍합니다. **** 마을 카페에 올려진 글을 보니.. 제가 아래와 같이 글을 썼다고 합니다. 알아보기 쉽게 현광펜으로.. 교회문제자료 2016.02.10
[스크랩] 서철원 박사, 김성로 부활-하늘제사 구속은 허구 http://www.good-faith.net/news/articleView.html?idxno=419 홈 > 주의인물 > 김성로서철원 박사, 김성로 부활-하늘제사 구속은 허구서철원 | cantoncrc@gmail.com승인 2016.02.05 13:17:19 ▲ 평신도 이단연구가 이인규 씨 최근 춘천한마음교회의 김성로 목사의 비성경적인 부활복음을 옹호하는 평신도 이단연구.. 교회문제자료 2016.02.05
[스크랩] 데이비드 시멘즈의 육적 간음보다 더 심각한 간음 국내에서는 [상한 감정의 치유]라는 책으로 유명한 저자. 인도에서 16년간의 선교사생활을 하다가 미국으로 돌아가서 목회와 교수사역을 하던 중 발간한 책이 일약 그를 스타덤에 오르게 했고, 한국교회에서는 두란노서원의 후원으로 책이 나오고, 그가 초청되어서 수차례 한국교회에 강.. 교회문제자료 2013.07.26
[스크랩] 유진 피터슨 목사에 대해 한국 목회자들이 좋아하는 기독 저자로 유진 피터슨 목사가 2위에 뽑혔습니다. 한국 목회자들이 좋아하는 기독 저자는 국민일보 2010.09.02. 월간 '목회와 신학'은 9월호 특집으로 목회자 860명을 상대로 조사한 기독교 저자 선호도를 실었다. 1위는 복음주의 진영의 대표적 지성 존 스토트 목.. 교회문제자료 2012.10.05
[스크랩] 헨리 나우웬에 대해 한국 목회자들이 좋아하는 기독 저자로 헨리 나우웬이 3위에 뽑혔습니다. 한국 목회자들이 좋아하는 기독 저자는 국민일보 2010.09.02. 월간 '목회와 신학'은 9월호 특집으로 목회자 860명을 상대로 조사한 기독교 저자 선호도를 실었다. 1위는 복음주의 진영의 대표적 지성 존 스토트 목사가 .. 교회문제자료 2012.10.05
[스크랩] 신비주의 크리스찬(?) 명상기법들 소위 "크리스찬(?) 명상" 기법을 정리해 놓은 뉴에이지 기독교(?) 사이트<<가 있습니다. (그들의 표현으로는 기독교 신비주의 christian mysticism 라고 합니다. 스타워즈, 나니아연대기, 도마복음을 증진하는 위험한 영지주의 사이트입니다.) 여기에는 요즘 이머징 처치가 수행하는 .. 교회문제자료 2012.02.03
권위와 권력주의 권위와 권위주의l마이페이퍼노이에자이트 l 2011-04-30 16:02http://blog.aladin.co.kr/782087115/4756461 전혀 다른 말인데 많은 사람들이 권위와 권위주의를 비슷한 뜻이라고 여기고 혼동합니다.쉽게 말하면 권위는 아주 필요한 것이고, 권위주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것입니다.권위자와 권위주의자를 비교하면 명.. 교회문제자료 2011.09.16
실질적 권위가 무엇이길래 절대권위에 복종해야 하는가? 실질적 권위가 무엇이길래 절대권위에 복종해야 하는가? 권력(권위주의) 에 대하여 원론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권위는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말이다. 다양하게 사용되는 권위라는 용어는 권력 권위주의와 혼동되어 본래의 개념이 퇴색되기도 한다, 마치 권위하면 독재 권력을 휘두르는 집.. 교회문제자료 201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