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사참배반대운동과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운동 신사참배반대운동과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운동 손성은목사(삼일교회, 부산) 고신총회의 설립60주년기념대회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고신총회는 신사참배반대운동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본제국주의의 신사참배강요를 거부하다가 투옥당한 이들이 출옥하고 난 뒤, .. 교단역사자료 2012.06.02
[스크랩] 순장측 전충현 새 총회장 선출 순장측 전충현 새 총회장 선출 대한예수교장로회(순장)총회(총회장 전충현 목사)는 9월 13~14일 양일간 용인 백암수양관에서 ‘제58회 정기총회’를 열고 각부 활동경과 보고 및 회무처리, 임역원 선출, 상정안 등을 처리했다. 개회예배 및 성찬예식에서는 총회장 전충현 목사의 인도로 부총회장 지태일.. 교단역사자료 2010.10.14
[스크랩] 미국장로교단(펌) 안녕하세요? 최근 미국장로교단에 소속된 한국교회에서 안수집사로 섬기다가 떠났습니다.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교단공식입장은 부정적이고, 예수그리스도가 유일한 길이라고 믿는것은 하나님의 은혜를 제한시킨다는 다원주의를 암시하는 선언들, 동성연애자 목사들을 권징하지도 않는 상황입니다.. 교단역사자료 2009.11.06
[스크랩] Re:Re:침례교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나 뱁티스트의 후예의 관련성에 대해서.... ^^ 목차 Ⅰ. 들어 가는 말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Ⅱ. 침례교의 특징 1. 의례적 측면 2. 교리적 측면 3. 조직적 측면 4. 대사회적 측면 Ⅲ. 침례교의 기원 Ⅳ. 침례교의 세계사적 전개 Ⅴ. 일제하의 한국 침례교 Ⅵ. 광복 후의 한국 침례교 Ⅶ. 나오는 말 Ⅰ. 들어 가는 말 1. 연구배경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비롯.. 교단역사자료 2009.05.28
[스크랩] 마틴 루터의『두 왕국론』 마틴 루터의『두 왕국론』 들어가는 말 '두 왕국'이란 용어는 루터가 직접 언급한 말은 아니다. 루터는 ‘두 정부’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루터의 ‘두 정부’ 사상을 ‘두 왕국’으로 오해함으로써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이란 이원론으로 기울어 역사 안에서 엄청난 파국을 초.. 교단역사자료 2009.05.10
[스크랩] 화란개혁교회에 대하여-주일 오후(저녁) 예배 월간 고신 1988년 11월호 통권 86호 P.40~44 개혁주의 교회 <9> 주일 오후 (저녁) 예배 화란 개혁교회에서도 오래 전부터 주일날 두 번의 예배를 드렸다. 곧 오전예배와 오후 (저녁) 예배였다. 예배를 두 번 드리는 것을 원래 교회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을 만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었다. 오후 예배.. 교단역사자료 2009.05.10
[스크랩]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비교 / 신복윤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비교 신복윤 교수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보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Ⅰ. 복음주의 1. 복음주의의 발단 근본주의.. 교단역사자료 2009.02.02
[스크랩] 칼빈탄생 500주년 기념 지상강좌 1|칼빈주의와 한국교회_이광호 목사 <칼빈탄생 500주년 기념 지상강좌 1> 칼빈주의와 한국교회 이광호 목사, 실로암 교회 서론 세상 끄트머리를 살아가는 모든 성도들은 동일한 신앙을 소유해야만 한다.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성령의 간섭을 받아야 하며 성경에 대한 동일한 고백이 있어야만 한다. 그것은 인간들의 신앙적.. 교단역사자료 2009.01.06
[스크랩] 헨리 8세와 영국의 교회 분열 헨리 8세와 영국의 교회 분열 가톨릭 교회 권위에 도전 ‘국왕 이혼과 결혼’ 다분히 개인적 문제가 발단 39개항 신조 인준, 성공회의 국교회 체제 확립 영국에서의 종교개혁은 다른 지역의 종교개혁들과는 달리 그 기원에 있어서 종교적이라기보다는 국왕의 개인적인 문제와 교회 정책적인 문제에서 .. 교단역사자료 2008.12.16
[스크랩] 합신교단의 역사적 존재의의 / 기독교개혁신보 우리 교단의 역사적 존재 의의 우리 교단은 개혁주의에 입각한 장로교 교리, 즉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에 따른 장로회 헌법과 12신조 및 대소요리문답의 교리를 기본 신조로 고백 하며 교의와 규례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 이에 우리 교단의 역사적인 존재 의의와 사명을 돌아봄으로써 역사적 개혁.. 교단역사자료 2008.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