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율법폐기론과 율법주의 (마 5:17-21) 펌 예수님을 알고 난 후에 필연적으로 고민하게 되는 한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율법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하는 문제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바꾸면 ‘구약의 많은 명령들과 금지 사항들에 대해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하는 문제가 됩니다. 이 질문에 대한 바른 답변을 가지지 ..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죽이는 의문과 살리는 영으로서의 율법/십자가마을에서 퍼옴 (질문) >제가 질문을 드리려고 하는 것은 > >저의 질문을 통하여 참된 구원의 십자가가 무엇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들어내고 자 함입니다. > >가능하면 주님께서 각인에게 깨닫게 하신바 은혜를 함께 나눔으로 해서 > >진리에 더욱 가까이 하는 바람이며 > >한편으로는 이근호 목사님..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율법에 대한 바른 이해 -사무엘 볼튼 (Samuel Bolton, 1606-1654) 율법에 대한 바른 이해 사무엘 볼튼 (Samuel Bolton, 1606-1654) 로마 카톨릭은 의롭다 하심을 얻음(칭의)에 있어서의 율법의 역할을 추켜올리는 데 반해, 도덕률 폐기론자들(율법폐기론자)은 성결케 됨(성화)에 있어서의 율법의 역할을 깎아내린다. 우리는 율법의 저주로부터의 자유를 주장하는 데 반해, 율..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아멘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아멘님 반갑습니다. 제가 옛법이 대치되고 강화 되었다는 것에는 두가지 면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대교의 주된 규례들로서 할례와 안식일과 음식규정, 7절기등이 있습니다. 이것은 소위 유대인들이 이방인들과 구별하는 기준이 되었으나, 이러한 문자적인 규례들의 준수를 예수님이 십자가상에서 ..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로마서7:1-3절의 의미 율법과 그리스도라는 주제로 롬7장과 갈3:25의 본문으로 앞서 이루어진 대화를 읽고난 후,, 참고로, 나름대로 정리해 본 것입니다. 표현이 부족한 점 양해바랍니다.^^ 롬7:1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율법이 사람의 살 동안 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법의 지배 내지는 ..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청교도들의 율법관..外 하나님의 도덕법이 차지하고 있는 자리는 신학의 모든 부문, 특히 청교도 신학의 모든 부분에서 관찰할수 있습니다 죄는 율법을 어김,그리스도의 죽음은 율법을 만족시킴,칭의는 율법의 판단 그리고 성화는 신자의 율법 성취다. "참된 청교도는 언제나 위대한 감독자의 눈앞에 서 있었으며,그들은 하.. 성경신학자료 2009.02.13
[스크랩] 티와 들보 (마7:1-5) 로이드존스 티와 들보 "너희는 판단받지 아니하도록 판단하지 말라. 2 너희가 판단하는 그 판단으로 너희도 판단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재는 그 척도로 너희가 도로 재어질 것이니라. 3 너는 어찌하여 네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생각하지 못하느냐? 4 보라, 너 자신의 눈 속에 들.. 성경신학자료 2009.02.09
[스크랩] 정결한 동물, 부정한 동물의 규례와 관련한 10가지 힌트 레11장과 신14장에는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의 규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이 그 본문을 읽을 때,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잘못된 오해를 하기 쉽습니다. 첫째는 이 규례를 문자 그대로 오늘날로 적용하는 경우입니다. 둘째는 이 규례가 오늘날에는 전혀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여.. 성경신학자료 2009.02.06
[스크랩] Re:율법의 영원성에 대한 기본적인 제 입장 제자들이 이혼에 대한 모세의 견해를 빌려 예수님께 율법의 영원성에 대해(?) 의문을 표할 때...사람의 완악함때문에 모세가 허락한 것과 율법의 영원성과 완전성을 구별하라고 하십니다. 저는 '원래'의 율법은 그렇지 않다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주목해야한다고 늘 생각합니다. 우리가 '성경'을 '영원.. 성경신학자료 2009.02.04
[스크랩] 영성의 참된 의미와 그 실현 /박일민교수 영성의 참된 의미와 그 실현 2002년 01월 01일 (화) 00:00:00 교회와신앙 webmaster@amennews.com 박일민 칼빈대학교 교수(조직신학) 기독교회는 영성이라는 말을 오랜 세월 동안 사용해 왔다. 시대가 어지럽고 영적인 혼란이 가중될수록 그리고 성령의 특별한 은사들을 추구하는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경우일.. 성경신학자료 200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