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 요 한 것 들

MRSA에 관하여..

baromi 2008. 10. 27. 13:02

MRSA에 관하여..

1. MRSA 란 무엇인가?

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양성구균으로 이중 페니실린 항생제인 methicillin (또는 oxacillin, naf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것을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라 부른다. MRSA는 모든 beta-lactam(cephalosporins, imipenem 포함)에 내성이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항생제 등 대부분의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서 치료 중 선택할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감염후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치료제로 쓰이는 것은 vancomycin이며, 이의 남용은 또다른 다약제 내성균주의 출현을 초래할 수 있다.

MRSA는 수술창상감염, 피부감염, 정맥주사로 인한 균혈증의 주 원인균이기도 하며 하기도감염(폐렴)시에도 잘 분리되는 균으로 감염발생시는 다른 환자로의 전파가 쉬워 집단감염으로 발생할 소지가 많다.

 

2.MRSA균의 특징

① 황색 포도상구균으로서 병원성 세균이며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 피부감염 뿐만 아니라 폐 렴, 패혈증 등 중증 감염을 일으킴..

② 대부분의 penicillin G와 beta-lactam계열(cephalosporin, ampicillin 등)의 항생제에 내성 을 보임.

③ 기존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재원중 병원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폭발적으로 환자가 발 생하는 outbreak를 일으킬 수 있음.

④ 항생제를 남용한 경력이 있는 환자에서 MRSA균의 출현률이 높음.

⑤ 치료시 teicoplanin과 vancomycin 등 극히 제한된 항생제만 사용할 수 있음.

⑥ 손, 피부, 옷, 침구 등에 묻어서 감염원이 되어 접촉감염을 일으키고 공기감염의 가능성 은 적으나 환자의 가래 등이 튀는 경우 감염원이 됨.

⑦ 적절한 손씻기나 격리법, 장갑 사용 등으로 outbreak control이나 MRSA 의 출현률을 감 소시킬 수 있음.

 

3. MRSA의 전파경로

(1) 접촉전파(contact transmission)

MRSA에 감염된 환자나 오염된 물체를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환자와 접촉할 경 우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① 보균상태인 직원 - 보균자의 콧구멍, 피부, 기관지, 소화기관 등에 존재한다.

② MRSA에 감염된 환자

③ 오염된 물체나 환경

(2) 공기전파(airborne transmission)

환자의 기침이나 인공호흡기의 호기배출구 또는 상처 치료 시 등에 공기 중으로 전파될 수는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4. 우리나라의 상황

(1) 최근 이러한 위험 인자가 없는 어린이에서,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예인데도 MRSA가 분리되기 시작. 빈도가 점차 증가.

(2) 지역사회 감염에서도 MRSA 빈도가 높다고 하여 국내에도 가능성은 있었음.

(3) MRSA감염증 증가시→ vancomycin을 사용해야 함.→ vancomycin 남용이 우려됨. → vancomycin내성 S. aureus (VISA)의 출현가능성이 있다.

(4) 임상에서의 경우

a. 중환자실에서 분리되는 S. aureus 중 약 90% 이상이 MRSA

b. 원인 - MRSA감염환자, 비강내 보균자, 호흡기, 피부, 회음부, 직장등의 부위에 MRSA 가 집락되어 전파

c. 전파 - 의료인의 손에 의한 전파가 많음. MRSA 폐렴이나 화상병동에서의 공기 전파

5. MRSA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1) 손씻기

MRSA 감염 또는 보균환자와 접촉후 일시적인 보균상태가 될 수 있음.

손씻기는 MRSA의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매 환자와 접촉한 후 반드시 손을 씻는다.

(환자를 간호한 후 즉시 손 소독제로 손을 깨끗이 씻어 다른 환자에게 전염시키거나 자신이 보균자가 되는 것을 방지. 시계와 반지를 뺀 후 손에 손 소독제를 묻혀 두 손과 손목을 골고루 10초간 비벼서 씻는다. 이때 비누 거품을 충분히 내어 손가락 사이와 손 톱 밑을 두 손으로 마찰 시켜 씻는 것이 중요.)

(2) 장갑착용

감염의 우려가 있는 체액이나 물품과 접촉시 장갑(poly 또는 vinyl gloves)을 착용한다. 한 환자에서 다른 환자에게로 옮겨 갈 경우에는 장갑을 교환하며, 같은 환자인 경우에도 다른 부위를 접촉하게 되면 장갑을 교환함.

(3) 가운착용

환자의 체액이 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가운을 착용.

(4) 마스크 착용

호흡기분비물에서 MRSA가 분리되는 경우 출입시에 마스크를 착용.

(5) 격리

호흡기분비물에서 MRSA가 분리되는 경우 1인실에 격리.

기타 다른 부위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1인실에 격리할 필요는 없으나 분리되 는 환자끼 리 같은 장소에 코호트(cohort)함.

(7) 린넨관리 -분리수거.

(8) 청소 -병원내 일반병실 청소지침에 따름.

6. MRSA 환자의 격리 및 병실 지정

(1) 미생물검사에서 MRSA로 판명되면 환자의 침상 위 네임 카드에 󰡐�MRSA󰡑�스티커를 붙 임(호흡기를 통해 옮기는 경우는 적으나 환자의 분비물이 튀어서 감염될 수도 있음.)

(2) 1인실 이용이 가능할 때는 󰡐�접촉 격리󰡑�를 함.

(3) 다인실 병실의 사용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되도록 MRSA 출현 환자끼리 모아 격리하고 병실의 한쪽 구석으로 침상을 배치.

 

7. MRSA 환자 처치시 주의할 점

(1) MRSA 호흡기 감염, 창상 감염 등으로 분비물이 다량 분비되는 경우

- 분비물이 튀거나 묻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마스크와 가운을 착용.

(2) MRSA환자를 간호․처치한 후 다른 환자에게로 옮겨갈 때는 반드시 손을 씻음.

(3) MRSA환자의 상처나 분비물을 만질 때는 반드시 장갑을 낌.

(4) MRSA환자와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수술후 환자를 함께 처치하지 않음.

(5)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수술후 환자를 먼저 치료하고 MRSA환자는 나중에 치료.

 

8. MRSA 환자에게 사용한 기구 및 재사용품 소독시 주의할 점

(1) 환자에게 사용된 면포류는 붉은 hamper에 분리 수거하여 세탁실로 보냄.

(2) 환자에게 사용한 기구 및 재사용품은 플라스틱 용기에 10 % Tego액을 50배 희석하여 (예: 1,000 ml 증류수에 20 ml Tego용액을 섞는) 0.2 % Tego액에 30분간 담근 후 건져 세정기로 씻은 후 중앙공급실로 보냄(참고 : TB균은 10 % Tego 액을 20배로 희석한 0.5 % Tego액에 50분간 담가야 사멸).

(3) 환자에게서 나오는 모든 쓰레기는 분리 수거후 소각.

(4) 일주일 간격으로 시행한 미생물 배양검사결과 연속 두번 이상 음성으로 나오면 위의 조치들은 해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