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 요 한 것 들

지역사회 및 병원 내에서 발생한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에서 메티실린 내성률

baromi 2008. 10. 27. 12:55

지역사회 및 병원 내에서 발생한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에서 메티실린 내성률과 위험 인자
Epidemiology of and Risk Factors for Methicillin Resistance in Community-acquired and Nosocomial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김의석/Ui Seok Kim
방지환/김홍빈/박상원/오명돈/김철호/송영욱/최강원/김의종/Ji Hwan Bang/Hong Bin Kim/Sang Won Park/Myoung Don Oh/Cheol Ho Kim/Yeong Wook Song/Kang Won Choe/Eui Chong Kim
- Abstract -
요약
목 적 : MRSA는 주로 병원 내 감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외국에서는 지역사
회 내에서도 특별한 위험 인자 없이 MRSA 감염증이 발생한 예가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지
역사회에서 발생하는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에서 MRSA가 차지하는 비율과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 입원 환자 중 1991∼1992년과 1996∼1997년 4개년간 혈액배양에
서 황색포도구균이 분리된 334명과 1993∼1995년 3년간 응급실에서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이
증명된 93명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이들 중 의무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균혈증의 정의
를 만족한 환자 총 210명(각각 154명과 5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991∼1992년과 1996∼1997년 4개년간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의 발생 장소는 20.8%
(32/154)가 지역사회였고, 79.2% (122/154)가 병원 내였다. 지역사회 발생 황색포도구균 균혈
증의 18.8% (6/32), 병원 내 발생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의 44.3% (54/122)에서 MRSA가 분리
되었다. 1991∼1992년에 발생한 균혈증과 1996∼1997년에 발생한 균혈증을 비교하였을 때,
지역사회에서나 병원 내에서 균혈증을 일으킨 황색포도구균 중에서 MRSA가 차지하는 비
율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다. 지역사회 발생 MRSA 균혈증 15예
는 모두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었다. 병원 내에서 발생한 MRSA 균
혈증의 경우 MSSA 균혈증보다 중환자실 환경과의 관련이 많았다(각각 32.4%와 10.2%,
P=0.001).
결 론 :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의 18.8%는 MRSA가 원인이었다. 지역
사회에서 발생한 MRSA 균혈증 환자는 모두 한 가지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었다. 지
역사회에서 발생한 황색포도구균 균혈증에서 MRSA가 차지하는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초록#
Background : Strain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have
emerged as important pathogens affecting primarily hospitalized patients. However, some
investigators reported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ommunity-acquired MRSA
infections among persons who did not appear to have any of the recogniz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acquisition of MRSA. We designed this study to assess the
proportion of MRSA in S. aureus bacteremia in the community and risk factors for
MRSA bacteremia.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34 cases during 1991∼1992 and 199
6∼1997 and 93 cases in the emergency room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3∼1995, in which S. aureus was isolated from blood sample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10 cases (154 and 56 cases, respectively), which satisfied the
defini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bacteremia and of which medical records were
available.
Results : Of 154 bacteremia cases reviewed, 32(20.8%) were community-acquired and
122 (79.2%) were nosocomial during 1991∼1992 and 1996∼1997. MRSA occupied 18.8%
(6 of 32) in communityacquired S. aureus bacteremia and 44.3% (54 of 122) in our
hospital cases. We could not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e of
methicillin resistance in the community and our hospital. All of 15 cases classified as
community-acquired MRSA bacteremia during 1991∼1997 had more than one
predisposing risk factor for MRSA infection. Nosocomial MRSA bacteremia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among the patients trea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32.4% vs
10.2%, P=0.001).
Conclusion : MRSA bacteremia occupied 18.8% of community-acquired S. aureus
bacteremia. All cases with community-acquired MRSA bacteremia had more than one
predisposing risk factor for MRSA infection. We did not obser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RSA bacteremia in S. aureus bacteremia.
- Key Words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Community, Risk factors,
- 원문 및 링크아웃 정보 -
- 등재저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