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의 비열한 토론방법과 교리
2000-2001년을 전후하여 월간지였던 교회와 신앙지는 특집으로 수개월 동안 최삼경목사와 지방교회 조동욱외 일인과 지상공개토론을 하였다.
그 이후 “교회와 신앙”의 홈페이지의 게시판은 언제나 지방교인들로 시끄러웠다.
그래서 교회와 신앙지는 게시판을 지방교회, 안식교회, 일반 이단등 게시판을 몇 개의 전용게시판으로 분류하여 그들의 토론을 허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지방교회의 게시판에서 몇몇 난상토론이 있었다.
그곳에서 지방교회 한명이 교회와 신앙지에 공식토론을 요청하였고, “교회와 신앙”지에서는 필자에게 토론을 권유하였으며, 필자는 이를 수락하여 2001년 여름에 교회와 신앙측은 전용토론방을 특별히 만들어 주었고, 필자와 지방교회는 일대일의 공식 토론을 시작하게 되었다.
토론은 약 3-4개월 동안 행하여졌으며, 지방교회측은 계속 글을 올리는 기간과 태도, 방법, 주제등에 관하여 사전에 약속한 것을 계속 위반하게 되었고, 결국 삼위일체에 대한 토론을 마치고, 마침내는 다른 주제(구원론, 종말론, 교회론등)의 토론으로 지속되어가는 과정에서 지방교회측은 더 이상 토론을 할 수 없다고 일방적인 중단을 하게 된 일이 있었다.
또한 장관석목사의 개혁연구소에서 지방교회 3-4명과 약 2개월간 토론이 있었는데, 개혁연구소에서 직접 공청회를 갖자고 하니 갑자기 썰물처럼 빠져 나가게 되엇던 일이 있었다.
최근, 지방교회는 인터넷이란 매체를 통하여 활발하게 지방교회를 알리고 선전하여왔다. 그들의 홈페이지는 상당히 많으며, 홈페이지에는 교육을 받은 전문 운영자들이 있어서 조직적으로 활동하여 왔다.
그동안 지방교회와 토론을 한 사람들이 몇분(최삼경목사, 양승욱목사, 필자등) 있었는데, 지방교회는 토론에서 매우 이상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필자는 그동안 약 10년이상을 많은 이단들과 토론을 한 적이 있는데, 특히 지방교회가 사용하는 토론방법은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매우 비열한 방법이었으며, 이단이라고 불리지만 도저히 신앙인의 방법이라고 볼 수 없는, 더군다나 이단이라고 할지라도 나름대로의 당당함을 조금도 찾을 수 없는 비열한 방법을 사용한다.
그 토론은 논리적인 내용에 대한 성경적 토론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상과 교리를 위장하고 감추며, 오히려 자신들이 전통적인 기독교의 삼위일체라고 주장하며, 토론자를 삼신론자라고 공격하는 수법을 사용하며, 또 신학자들의 문헌과 서적을 왜곡시켜 부분적으로만 인용하여 다른 의미로 바꾸는 수법을 사용한다.
왜 그들은 자신들이 믿고 추종하는 교리와 사상을 굳이 위장하고 감추면서 토론에 임할까?
그동안 그들이 사용한 수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들의 삼위일체론(삼일신론)이 양태론적 삼위일체가 아니라 전통적인 삼위일체라고 주장을 하고 오히려 일반교회측의 토론자를 삼신론자라고 비방함으로서, 그 토론을 지켜보는 초심자들이 혹시 착각을 하게 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국내외로 유명한 몇몇 신학자들의 조직신학책 몇권만 참고하면 이들의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이 곧 밝혀지게 된다.
지방교회는 토론하는 상대자마다 삼신론자라고 비난하며 공격하는데, 그것은 그들이 양태론적 시각을 갖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된다.
둘째,
자신들의 삼위일체론이 전통적인 삼위일체라는 것을 위장하기 위해, 초대교부들의 교회사적인 주장을 인용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초대교부들의 주장은 삼위일체가 발전되어져가는 과정의 논리임을 알아야만 하며, 이러한 논리들이 궁극적인 정통삼위일체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상호내재(페리코레시스), 경륜적 삼위일체등은 삼위일체론이 형성되어져가는 과정중에 있는 시대적인 용어일 뿐이며, 그러한 견해는 중심적인 신학이 아니었으며, 궁극적인 삼위일체론이 아님을 알아야만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초대교회의 교부들의 삼위일체 형성과정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이용하는 수법이다.
셋째,
이들은 자신들의 양태론이 전통적인 삼위일체라고 조작하기 위하여, 자유주의 신학자나 양태론을 주장하는 극소수 신학교수들의 견해를 전통적인 신학인것으로 위장하여 소개한다. 그러한 극소수의 주장이 전통적인 삼위일체인 것처럼 조작하기 위함이다.
때로는 국내외로 유명한 신학자들의 책을 인용하기도 하는데, 그 책들의 내용에서 전체적인 의미와 전혀 다른, 부분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만 골라서 선택적으로 인용함으로서 그 책들이 지방교회의 삼일신론과 동일한 것처럼 위장하기도 한다.
실제로 지방교회는 이종성박사의 책과 차영배교수의 저서를 인용하면서, 지방교회의 삼일신론이 정통삼위일체라고 주장한 적이 있었는데, 나중에 이종성박사와 차영배교수, 김명용교수, 김영재교수등이 교회와 신앙의 특집기사(2001년 10월호)에서 지방교회는 분명한 양태론이라고 직접 비판함으로서, 그동안 이 신학자와 교수의 글을 인용하며 자신들이 정통삼위일체라고 주장하던 지방교회의 주장이 얼마나 거짓인지가 밝혀진 적이 있었다.
또 토론을 하다보면, 한국교회에서만 삼위일체가 다르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물론 세계의 저명한 신학자의 책을 인용하면 이들의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이 곧 드러나게 된다.
실제적인 예를 들자면, 캘빈의 주장 중에서 오해를 받을만한 한마디만 골라 찾아서 부분적으로 올려놓든지, 웨슬레의 주장 한마디만 인용하여 부분적으로 올려놓고, 캘빈과 웨슬레도 지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인 양태론과 같다고 한 적도 있었는데, 이런 수법은 그야말로 한마디로 기가 막힐 정도이다.
물론 이것에 대해서 정식으로 문헌적인 자료를 제시하면서 반박하면,더 이상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아니면 말고...”라는 식의 수법이다.
넷째,
자신들의 위장적 조작이 통하지 않게되면, 일반교회의 삼위일체론이 비성경적이며, 자신들의 양태론적인 교리가 더 성경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자신들의 삼위일체가 성경적으로 옳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토론은 오히려 바람직하며 이러한 토론은 이들의 주장이 비성경적임이 곧 드러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여의치 않으면 일반교회의 신학을 “교리주의”라고 비난하는 둥, 이러한 지방교회의 주장은 자주 바뀌게 되는데, 그것은 그동안 자신들이 전통적인 삼위일체라고 주장해 온 것이 모두 거짓임을 스스로 자백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자신들이 전통적인 기독교의 교리와 신학이라고 계속 우기다가 그것이 발각되자, 일반교회의 교리와 신학을 교리주의라고 비난하기 때문이다.
과연 그들은 교리가 없는가? 그들은 양태론이라는 교리를 갖고 있으며, 그들이야말로 100명이면 100명이 모두 그들의 지도자(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와 무조건 동일한 교리를 추종하는 그야말로 교리주의인 것이다.
항상 이단들은 성경을 근거로 하지 않고, 그들의 지도자의 개인적인 교리와 신학사상에 무조건 맹종한다.
일반적인 성경적 진리 토론의 경우을 보면, 이단이라고 불리는 곳도 완전 사이비단체가 아닌 다음에는 그들 자신도 나름대로 성경적이라고 믿으며, 자신들의 견해를 당당하게 밝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지방교회와의 토론에서 보면, 지방교회의 토론방법과 태도는 신앙인의 것이라고는 볼 수 없을만큼, 위장, 모함과 왜곡에 가득차 있다는 것이다.
그들이 어떻게 일반 교회의 유명한 신학자의 책을 지방교회의 것과 동일하다고 주장하면서, 그 책들을 부분적으로만 인용할 수 있는가? 그들은 스스로가 일반 교회와 전혀 다르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양심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손가락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다고 보는지, 그들의 유치한 수법에 그들의 영혼의 정체를 의심치 않을 수가 없었다는 것이 필자의 솔직한 느낌이었다.
지방교회와 토론을 한지 벌써 4년이 넘었다.
필자의 게으른 탓이기도 하지만, 상세한 지방교회의 자료가 미비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지방교회와의 토론을 정리하여 볼 필요성을 느껴서, 정리를 해보았다.
인터넷 이단연구기관에 보면 본인이 연구한 지방교회의 비판이 상당히 많이 올라와 있다. 이단을 연구하는 책에서 지방교회편을 필자가 담당하여 쓴 것도 있다.
지방교회로서는 아마 참지 못할 일이 될 것이다.
이곳에서 지방교회라는 제목을 검색하면 본인의 글이 모두 나오게 된다.
필자가 토론 끝에 내린 결론은 바로 이것이다.
1. 지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양태론이다.
2. 지방교회의 구원론, 인간론, 기독론, 종말론, 교회론등의 사상과 교리는 전통적인 기독교의 것과 전혀 다르다.
3. 그들이 사용하는 부활, 재림, 천국, 거듭남의 용어는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와 전혀 다르다. 그들은 신인합일을 주장하는데 그것이 곧 부활이며, 천국이며, 재림이며 거듭남이다.또한 그들의 성경해석은 오직 위트니스 리 한사람의 알레고리적인 성경해석을 무조건 100% 신봉하고 있다.
4. 지방교회의 교리는 신론, 인간론, 기독론등이 초대교회부터 있어왔던 이단교리를 망라하고 있다.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교리와 사상이 전통적인 기독교라고 위장하고 왜곡한다는 점에서 다른 이단들보다도 더욱 위험한 집단이다.
'(지방)교회와 논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워치만 니의 신학에 영향을 미친 사람들-6인 (0) | 2006.02.14 |
---|---|
(지방) 교회는 최삼경 목사와 윗트니스 리의 글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0) | 2005.11.07 |
(지방)교회와의 논쟁 (0) | 2005.08.24 |
[스크랩] Re:God-Man과 God and Man을 혼동하시는군요.......... (0) | 2005.07.07 |
[스크랩] Re:인용을 하시려면 정확하게 하셔야 합니다. (0) | 200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