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배찬양자료

[스크랩] 사순절의 의미

baromi 2008. 2. 9. 20:10

사순절의 의미


사순절은 앨글로 색슨의 '봄' 이란 의미의 (Lenen)에서 왔다.
이 절기는 부활절을 위한 신앙의 성장과 회개를
통한 영적준비의 시기이며,
교회력 중에서 주님의 수난과 죽음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때이다.
이 절기를 특별한 회개일인 속죄일(재의 수요일)에서 시작되어
부활절 직적인 성 금요일의 슬픔과 비극 가운데 끝난다.
이 기간에는 금식아며 자기회개의 기회로 삼기도 한다.

사순절은 부활주일로부터
거꾸로 세어 주일을 땐 40일 전부터 시작되며
이 기간 동안은 자신을 돌아보며
지내는 좋은 교육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40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데 광야의 40일 간의 예수님의 금식,
시내산에서의 40일 간의 모세의 사건,
무덤 속에 40시간 동안 계신 예수님의 부활에서
승천까지의 40일을 의미한다.

사순절의 근원은 초대교인들이 최후의 만찬을 지켰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 준비를 위해서
금식했던 것처럼 초대 기독교인들도 예식 전에 금식했었다.

"사순절"의 역사적 출현은 살펴보면,
A.D325년 니케아회의에서 정한 교회의
규칙에 40일간의 사순절이 언급되어 있고,
몇 년 후 아다나시우스의 목회서신에 사순절과
부활절에 대한 준비 말씀이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는 사순절이 일정하지 않았다.

사순절을 지키는 의미로 보면,
중세기에는 주로 사순절을 회개의 시기로 지켰는데
종교개혁자들이 이 사상을 받아 들여 공동 기도문 중의
사순절 기도문의 주제를 "회개"로 삼으며 본격화 되었다.

출처 : 양무리마을
글쓴이 : grac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