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역사자료

[스크랩] Re:Re: 참고 자료.. 컬리리디아니즘 COLLYRIDIANISM 에 대해... (추가 끝)

baromi 2010. 11. 22. 10:38

과거에 저희 카페에 올라왔던 글입니다.

 

 

 

 

holyjoy 06.08.03. 20:29

니나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제가 약간 보충자료들을 답글형식으로 올려둡니다.이들은 hyper-Marianism이라고 할 수 있는, 뭐랄까, 로마천주교회 안에서조차도 이단시하는 그룹 같습니다. 최근의 페미니즘운동에서 마리아를 여신화시키는 경향들이 이전의 그런 그룹들의 복귀를 나타내고, 혹은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같은 것도 그 한 예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http://www.ewtn.com/library/HOMELIBR/COLLYRID.TXT

 

 

 COLLYRIDIANISM

                          
Dates
350-450

Founder
Unknown

Background to controversy

Most of the early heresies were Trinitarian and Christological in
nature, but Collyridianism stood alone as a heresy that sought to
deify the Blessed Virgin Ma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ovement's
theology. Not even the names of the group's leaders are mentioned by
writers of the time. This sect's excessive Marian devotion developed
into the idolatry of Mary worship. This aberration grew out of the
Church's rightful veneration of Mary as ever-virgin, Mother of God,
and powerful heavenly intercessor, but crossed the line of orthodoxy
when certain Christians began to worship Mary as divine. Details
about the Collyridians are scanty, but one of the few specifics we
know of them is that at their liturgical service bread was offered as
a sacrifice to Mary.

Principal errors

The heresy of the Collyridians was very simple: They worshiped Mary.
This wa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Catholic Church's condemnation
of idolatry, which had been condemned by God himself: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 You shall not make for yourself a graven
image, or any likeness of anything that is in heaven above, or that
is in the earth beneath, or that is in the water under the earth; you
shall not bow down to them or serve them; for I the Lord your God am
a jealous God" (Ex. 20:3-5; cf.  Deut. 5:7 6:14; 1 Cor. 4:8-6,
10:19-20; Eph. 5:5). This proscription applies not just to statue
worship, but to the worship of anything besides God.

Orthodox response

It is ironic that the most diligent opponent of the Collyridians was
Epiphanius (315- 403), the bishop of Salamis. He was widely renowned
for his learning and holy asceticism and was a close friend of
Jerome, but he was also a rude and querulous man who garnered many
enemies, some of whom were fellow bishops.

Though Epiphanius's efforts to quash the Collyridians were laudable
and his theological and scriptural reasoning against their idolatry
was sound, he himself was not free from error in the area of honoring
God's friends. The vehemence of his opposition to the Collyridians'
idolatry was rivaled by his fanatical opposition to icons.

In a description that is reminiscent of certain modern-day
Fundamentalist foes of Catholic Marian doctrines and of venerating
icons and images, patristics scholar Aloys Dirksen, C.P.P.S.,
describes Epiphanius as having a "fiery temperament and unreasonable
impetuosity . . . that made the calm objectivity necessary for
scholarly work impossible for him. His narrow-mindedness is apparent
in the part he played in the Origenist controversy and the violence
with which he attacked the veneration of images.

"He considered this idolatry, and in his testament he anathematized
anyone who would even gaze upon a picture of the Logos-God. His
temperament made him suspicious of heresy everywhere, and he made
capital of even the smallest inaccuracy of statement. It appeared
impossible for him to see any viewpoint but his own. Since he lacked
critical acumen and was a poor, even a tiresome writer, his works
would be of little value if it were not for his many quotations [of
others]. He thus saved much that would otherwise have been lost to
us" (Elementary Patrology [St. Louis: Herder, 1959], 117).

Epiphanius wrote against the Collyridians in his most important
apologetic work, Panarion (Medicine Box [374-377]), a tour-de-force
refutation of over eighty heresies known to him. He refuted the two
extreme and diametrically opposed Marian heresies of his day,
Collyridianism (which overly exalted Mary) and Antidicomarianitism,
an Arabian movement that debased Mary's status and virtues, to the
point of claiming "that holy Mary had intercourse with a man, that is
to say, Joseph, after the birth of Christ" (Panarion 78:1).

The Collyridians were primarily women who developed a syncretistic
combination of Catholicism and pagan goddess cult customs. After
describing the "awful and blasphemous ceremony," in which they adorn
a chair or a square throne and spread a linen cloth over it for their
ritual, Epiphanius writes, "Certain women there in Arabia have
introduced this absurd teaching from Thracia: how they offer up a
sacrifice of bread rolls in the name of the ever-Virgin Mary, and all
partake of this bread" (<Panarion> 78:13). He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Mary and God: "It is not right to honor the saints
beyond their due" (ibid. 78:23); "Now the body of Mary was indeed
holy, but it was not God; the Virgin was indeed a virgin and revered,
but she was not given to us for worship, but she herself worshiped
him who was born in the flesh from her.... Honor Mary, but le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e worshiped, but let no one
worship Mary, . . . even though Mary is most beautiful and holy and
venerable, yet she is not to be worshiped" (ibid. 79:1, 4).

With Epiphanius we can say that anyone who worships Mary or any other
creature is committing idolatry and must be rebuked. We should look
to Scripture, at the case of the angel who rebuked John for his
temptation to idolatry, to see how to admonish modern-day
Collyridians: "At this I fell at his feet to worship him. But he said
to me, 'Do not do it! I am a fellow servant with you and with your
brothers who hold to the testimony of Jesus. Worship God!'" (Rev.
19:10). No doubt, our Lady herself would say this to any who would
seek to worship her.

Modern parallels

Collyridianism is seen today in various forms. Those "hyper-Marian"
groups and writers who overly exalt Mary and focus on her to the
exclusion (or near exclusion) of Christ are guilty of something
approaching idolatry. Modern feminism is the source of a recycled
Collyridianism that worships a "mother goddess" and seeks to
"re-image" God in female terms.

This article was taken from the October, 1994 issue of "This Rock,"
published by Catholic Answers, P.O. Box 17490, San Diego, CA 92177,
(619) 541-1131, $24.00 per year.

   -------------------------------------------------------------------
   The electronic form of this document is copyrighted.
   Copyright (c) Trinity Communications 1994.
   Provided courtesy of:

        The Catholic Resource Network
        Trinity Communications
        PO Box 3610
        Manassas, VA 22110
        Voice: 703-791-2576
        Fax: 703-791-4250
        Data: 703-791-4336

   The Catholic Resource Network is a Catholic online information and
   service system. To browse CRNET or join, set your modem to 8 data
   bits, 1 stop bit and no parity, and call 1-703-791-4336.
   -------------------------------------------------------------------

 

http://www.lrc.edu/rel/blosser/collyridianism.htm

 

Collyridianism (Mary Worship)

Many anti-Catholics accuse Catholics of worshipping Mary. Of course, there is no basis for this because the Church explicity forbids the worship of anyone other than God. However, back in the early Church, there was group who did in fact worship Mary; they were known as "Collyridians". Their excessive Marian devotion developed into a full blown worship of the Holy Virgin. The heresy lasted about 100 years, existing between 350 and 450 A.D.

The great opponent of the Collyridian sect was Epiphanius, bishop of Salamis and a close colleague of St. Jerome. One of his most outstanding contributions in defeating the Collyridians was his apologetic Panarion (Medicine Box). In his refutation, he addressed both extremes of Marian heresies: Collyridianism (the super-exhaltation of Mary) and Antidicomarianitism (an Arabian movement which demoted and debased Mary's importance).

The Collyridian sect was comprised of mostly women who combined Catholic and Pagan rituals and beliefs and fused them into a new religion - not unlike, it should be observed, many pseudo Catholic nuns who do the same today. Epiphanius considered this blasphemous, writing "certain women there in Arabia have introduced this absurd teaching from Thracia: how they offer up a sacrifice of bread rolls in the Name of the ever-Virgin Mary, and all partake of this bread."

Heresy floats outside of the boundaries of the true faith. One extreme exaggerates a truth; the other extreme denies it. In the case of Collyridianism, we see a perfect example of the former: where there should be a veneration and devotion to Mary, there is an adoration of her instead.

 Catholic Legate (Heresy of the Month)

 

 

 

마리아를 신격화 하는 천주교회와 컬리리디아니즘(Collyridianism) 1

마리아숭배 초기교회 사이비 집단에서 비롯

컬리리디아니즘의 주요 교리 천주교에 들어와
무염시태·몽소승천 등 마리아숭배 교리로 발전

 

2004년 9월 어느날 미국 야후(yahoo.com)에서 자료들을 검색하다가 정말 우연하고도 기적적으로 이상한 영문 기사를 하나 발견했다. 그것은 미국 EWTN(Eternal World Television Network·Global Catholic Network)에서 나온 기사였다. 당시 즉석에서 대충 번역을 해보니 4~5세기에 아라비아 근방에서 성모 마리아(이하 동정녀 마리아로 통일함)를 “신”으로 흠숭(Latria, Worship)했던 사이비 이단 집단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을 영어로는 collyridians로 표기하고 있고 나중에 그 어원을 알아보니 헬라어 Κολλυριs 또는 Κολλυριδεs에서 이 영어가 나왔는데 이들이 하도 희안하게 성찬식의 빵을 먹었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라고 했다.

 

위 헬라어들의 뜻은 영어로 Bread, Cake이다. 그런데 이 집단의 주장이나 행태를 증언하고 있는 것은 4~5세기 동방교부 살라미스의 주교(감독) 에피파니우스(Epiphanius, 403년 사망)이다. 그는 그의 저서 파나리온(Panarion, Medicine box)에서 이 집단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 책에는 초대 교회부터 그의 당대까지 존재해 온 총 80가지의 사이비 이단설들이 총망라되어 기록되어져 있다. 이 사이비 이단에 관한 기록은 파나리온 79에 있는데, 파나리온 78에는 Antidicomarianitism이란 사이비 이단에 대하여 증언이 되고 있다.

 

이 collyridianism을 유일하게 언급한 교회사학자는 프로테스탄트의 필립 샤프(Philip Schaff, 1819~1893)뿐이다. 이 위대한 미국의 교회사학자는 그의 교회사 3권 7장 81절에서 이것을 간략하게나마 다루고 있다. 그러나 천주교회의 약점이라면 그 어느 것 하나 빠트리지 않는 천주교회에서 파문당한 한스 큉 신부조차 이를 모르고 있다. 그 증거는 1천 페이지가 넘는 그의 저서 “그리스도교-본질과 역사”에 일절 언급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사이비 이단 집단의 주요한 교리들이 천주교회에 고스란히 들어와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필자가 그것을 확실하게 규명한 것은 천주교회의 무염시태와 몽소승천의 교리이다. 이 무염시태의 교리는 1854년 교황 비오(Pius) 9세가 천주교회의 믿을 교리로 선포했다. 그런데 이 집단의 무염시태는 동정녀 마리아가 주 예수님처럼 또한 한 동정녀로부터 탄생했다는 것이나, 천주교회의 그것은 동정녀 마리아가 주 예수님의 선행구속은총에 힘입어 잉태와 동시에 원죄로부터 자유로와졌다는 것이다. 이 점이 서로 다른 것이나 그녀가 원죄에서 자유롭게 태어났다는 점에서는 서로 같다.

 

천주교회는 이 교리를 비오 9세가 당시 주교들과 신학자들로 하여금 토론과 협의를 거치게 한 후 교리로 선포했다고 주장해 오고 있지만 실제로는 고의적으로 그것의 핵심사항의 뒷 배경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천주교회는 이것을 과거에도 감추었고, 현재도 감추고 있으며, 미래에도 계속 감추려 들 것이다.

 

이 교리의 감추어진 뒷 배경에는 두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성직자(추기경들 + 대주교들 + 주교들 + 신부들)들과 신자들의 청원서이고 그 다음 하나는 1830년의 소위 “기적의 메달”이라고 불리는 동정녀 마리아의 발현(Apparition) 사건이다. 무염시태의 교리를 천주교회의 믿을 교리로 선포해 달라는 청원서들은 장장 231년 동안 끈질기게 교황들에게 전달되었고 결국 비오 9세 때 그 찬란하고 황홀한 빛을 보게 되었다. “기적의 메달” 발현은 1830년 7월18일 밤 11시 반경 프랑스 파리의 “사랑의 딸회” 본원 수녀원 성당에서 수련자 수녀 가타리나 라부레(당시 23세)에게 동정녀 마리아가 처음 발현한 사건을 말한다. 그해 11월 27일 저녁 5시 반경 가타리나 수녀는 마리아의 발현을 두번째로 체험하는데 그때 마리아는 자신이 원죄없이 잉태되었다고 밝힌다. 1832년 파리의 대주교 드 랑케는 이 사건에 대하여 철저히 조사한 후 교황청에 긍정적인 보고를 올린다. 1836년 교황 그레고리우스(그레고리) 16세는 이 발현을 사실이라고 확인했다. 그리고 1847년 “문제의 교황” 비오 9세는 마리아가 가타리나 수녀에게 “마리아의 어린이 군대”를 설립할 것을 요청한 것에 대하여 인준했다.

 

이와같이 이것이 비오 9세에 의하여 선포된 그 교리의 감추어진 당대의 뒷 배경이다. 즉, “문제의 인물” 교황 비오 9세는 공적 계시(성경 +성전 : 전승 : Tradition)에 의해서가 아니라 “위험한 사적 계시”에 근거해서 이 교리를 선포한 것이다. 그러나 작금 이 교리에 대하여 다루어 오고 있는 국내외의 수많은 교회사학자들 중 이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그런데 고대교부들 중 유일하게 시리아인 에프렘(379년 사망)이 무염시태를 인정했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를 비롯한 동서방의 모든 정통교부들은 그들이 무염시태 그 자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동정녀 마리아의 신앙과 인격의 완전함은 모두 언급했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천주교회의 어용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오늘날로 말하면 과학자에 가까움)가 이 교리를 부정한 반면에 16세기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와 울리히 쯔빙글리는 이를 수용했다. 그리고 필자도 역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다.

 

 

 

 

마리아를 신격화 하는 천주교회와 컬리리디아니즘(Collyridianism) 2

가톨릭교회, ‘청원서’로 새로운 교리 만들어
1950년 마리아 몽소승천 교리 ‘사적 계시’에도 없는 가짜
마리아의 최후는 성경이나 역사 어디에도 증언하지 않아


지난 호에서는 컬리리디안들의 ‘무염시태설’과 천주교회와의 관계에 대하여 다루었으니, 이번 호에서는 이 사이비 이단 집단의 ‘몽소승천설(마리아의 육신이 승천했다는 교리)’과 천주교회와의 관계에 대하여 다루어 보기로 한다. 컬리리디아니즘의 몽소승천은 동정녀 마리아가 죽은 후 그녀의 육신이 하나의 구름에 휩싸여 천상 예루살렘으로 옮겨졌고, 사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천사 가브리엘이 그녀의 영혼을 하나님께 데리고 갔다는 것이다. 하지만 천주교회의 몽소승천(성모승천)의 교리, 즉 “원죄가 없으시고 평생 동정이신 하나님의 어머니 마리아는 현세생활을 마친 후 육신과 영혼이 함께 하늘로 올라가 영광을 입으셨다”는 교리는 교황 비오 12세가 1950년 11월 1일 천주교회의 믿을 교리로 밝히고 선포하기 전에는 가톨릭 교인들도 이를 모르는 이들이 있었다. 그런데 더욱 가관인 것은 이 교리 선포 당시 비오 12세가 이 교리의 궁극적인 근거가 성경에 있다고 선언한 것이다.

 

비오 12세는 나찌의 홀로코스트(유대인대학살)에 관해 처음부터 침묵으로 일관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현 교황 베네딕도 16세는 그가 추기경 시절(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에 쓴 책에서 이 교리의 선포가 “역사적 진술”이 아니라 “신학적 진술”이었다는 애매모호한 주장을 하면서 이것의 교의(교리)화가 6세기 이전에는 시도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시온의 딸, 성바오로출판사, 62-63쪽).

하지만 이 교리 선포의 당대의 뒷 배경 역시 일반인들은 물론 16세기 프로테스탄트들에게조차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의 감추어진 뒷 배경에는 무염시태 교리 선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직자(추기경들+대주교들+주교들+신부들+수녀들)와 신자들의 ‘청원서’가 있다. 바로 이것이 그것을 교의화 시킨 일등공신이고, 여기에 대해서는 본보(04. 10. 24일자)도 1면 톱기사로 보도한 바가 있다.

 

비오 9세에 의한 무염시태 교리의 선포가 있은 후 불과 2~3년이 지나지 않아서 교황청으로 몽소승천교리 선포를 위한 청원서가 쇄도했다. 그러나 비오 9세는 이를 지나쳤고 비오 12세가 이 교리를 선포할 당시에는 무염시태 교리 선포를 위해 231년 동안 쌓여진 청원서들보다도 훨씬 많은 성모승천을 교리화 해 달라는 청원서가 쌓여졌다고 한다(교회의 어머니 세기의 승리자, 가톨릭출판사, 218~219쪽).

 

그렇다면 성직자들과 신자들의 청원서는 새로운 교리들을 만드는 공장이고, 교황은 그 공장의 공장장인가? 작금 천주교회는 교황이 새로운 교리를 발명할 권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도들로부터 내려오는 교리의 일점일획조차 뜯어고칠 권한이 없다고 가르쳐 오고 있다. 하지만 천주교회의 작금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교황이 새로운 교리를 계속 발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역사상 자신이 원죄 없이 태어났다는 동정녀 마리아의 발현은 여러번 있었지만 자신이 승천했다는 마리아의 발현은 아직까지 들어보지 못했다. 즉 비오 12세에 의한 이 교리의 선포에는 위험스러운 “사적 계시”의 지지조차 받지 못했던 것이다.

 

무염시태 발현 중에는 프랑스 루르드 발현이 제일 유명하다. 이 발현(당시 14세 시골소녀인 벨라뎃다에게 마리아가 나타났고 그녀는 곧 수녀가 됨)은 비오 9세에 의한 무염시태 교리 선포 4년 후인 1858년에 있었다. 그런데 이 발현도 역시 “문제의 인물” 비오 9세가 1862년에 인준했다. 또한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발현의 환시자(체험자)들인 가타리나(1876년 사망) 수녀와 벨라뎃다(1879년 사망) 수녀의 시신들이 아무런 방부처리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조금도 썩지 않고 건재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하여간 “문제의 교황” 비오 9세가 무염시태 교리를 선포하고 나서부터 그는 소위 “사적 계시”에 단단히 매료되고 맛이 들린 모양이다. 그래서 그가 프랑스 사이비 ‘라 살레트 마리아’발현에 속아 1870년의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교황의 수위권과 무류성이라는 정통고대교부들이 전혀 몰랐던 새로운 교리를 선포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바통을 이어받아서 비오 12세가 1950년 몽소승천 교리를 선포했는데 이를 ex cathedra(교좌선언)의 행사라고 하고 이것의 행사는 실제적으로 그것이 처음이다.

 

그러나 천주교회는 그들이 그들의 성인 대주교로 공경해 오고 있는 교부 에피파니우스가 그의 저서 “파나리온” 79에서 “그러나 누군가가 우리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들로 하여금 성경을 살피게 하라. 그들은 마리아의 죽음을 찾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그녀가 죽었는지 죽지 않았는지 찾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그녀가 죽어 묻혔는지 묻히지 않았는지 찾지 못할 것이다. 성경은 마리아의 최후에 대해 절대적으로 침묵하고 있다. 내 자신의 입장으로서는 나는 감히 말할 용기가 없다. 그러나 나는 내 자신의 사고들을 지키고 침묵을 실천하겠다. 성경은 인간의 정신을 능가해 오고 있고, 이 문제를 불확실하게 남겨두고 있다.

그녀가 죽었는지, 거룩한 동정녀가 죽어서 묻혔는지, 혹은 죽임을 당했는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실 수 있고 하나님과 함께 불가능한 것은 없으므로 그녀가 살아 있는지를 우리가 모른다는 것이 사실이다. 정말로 그녀의 최후를 아는 사람은 단 한명도 없기 때문이다.”라고 쓰면서 컬리리디아니즘의 몽소승천을 반대했다는 것을 진실로 모르고 있는가?

 

그런데 교황 고 요한 바오로 2세의 “구세주의 어머니” 3의 각주 92와 또 요한 바오로 2세와 현 교황 베네딕도 16세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현 “가톨릭교회 교리서” 760의 각주 154에는 에피파니우스의 “파나리온”이 인용되어 있다. 그리고 위 교리서 67은 교회의 권위(주, 교황들)에 의해 인정된 “사적 계시”들일지라도 신앙의 유산이 아니라고 선언하고 있다.

 

 

 

마리아의 무염시태·몽소승천 교리 가톨릭의 비극

대부분의 가톨릭 학자들 초기 컬리리디아니즘 숨겨

이대로 가면 50년 내 ‘성모 공동구세주’ 교리선포 될것





정통고대교부들이 반대했던 컬리리디아니즘의 무염시태와 몽소승천이 천주교회의 핵심교리들로 자리잡은 것은 천주교회의 비극들 중에서도 가장 큰 비극이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미국 EWTN의 컬리리디아니즘에 관한 기사는 단지 4~5세기에 동정녀 마리아를 하나님으로 흠숭(숭배)한 괴상한 사이비 이단 집단이 있었다는 것과 정통고대교부 에피파니우스가 그의 저서 “파나리온”에서 이들을 이단운동으로 증언하고 있다는 것만을 밝히고 있다. 이들이 무염시태와 몽소승천을 신봉했었다는 사실을 기사화 하지 않고 누락시킨 것이다.


“파나리온”에는 이들의 교리들과 행태들이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왜 EWTN이 이들의 무염시태와 몽소승천을 소개하지 않았을까? 고의인가, 아니면 몰라서 인가?

이와 유사한 예들을 몇가지 소개한다. 전 가톨릭대학 신학부 교회사 교수 김성태 신부도 역시 그의 저서 “세계교회사Ⅰ”(성바오로출판사) 101쪽에서 에피파니우스의 “파나리온”을 인용 소개하고 있지만 거기에는 컬리리디아니즘에 대한 언급조차 없다.
또한 한국가톨릭대사전에도 에피파니우스에 대한 언급이 일체 없으나, 미국가톨릭 대사전은 그를 다루고 있다. 에피파니우스는 381년의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의 신조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정통고대교부이다. 아마도 그가 성화상(聖畵像) 공경을 맹렬히 비난했던 것도 천주교회가 그를 기피하는 한 이유일 것이다. 그리고 천주교회가 그들의 정통교부로 열렬히 떠받들어 오고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도 역시 성화상 공경을 반대했다.

전 한국교회사연구소장 최석우 신부가 번역한 “교회사”(아우구스트 프란츤, 분도출판사)도 역시 에피 파니우스에 대한 언급을 일체 하지 않는다. 다만 평신도 신학자 하성수 박사가 번역한 “교부학”(H.R.드롭너, 분도출판사)은 에피파니우스에 대한 언급을 적지 않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저서 “파나리온”에 대한 소개까지 하고 있지만, 웬일인지 유독 컬리리디아니즘에 대한 소개만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문 번역가 이종한씨가 번역한 “보편공의회사”(클라우스 샤츠, 분도출판사) 58쪽은 “물론 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년)가 성령에 관한 정식을 새로 만든 것은 아니니, 이 정식은 이미 374년 에피파니우스의 「정박자」Ancoratus 말미에 나타난다”고 기록함으로써 에피파니우스의 독보적인 교회사적 위치와 의의를 알려주고 있다. 그는 당대에는 극히 드문 5개국어에 능통했고 불가타 라틴판의 역자 제롬(예로니모)과 절친했다.

위 샤츠는 예수회 신부이면서 독일의 한 대학의 교회사 교수이다. 그런데 컬리리디아니즘에는 여성 성직자(주교:감독+사제:목사)들이 있었다고 한다.

칼빈은 그의 “기독교 강요”에서 여성에 의한 세례를 반대하면서 이 에피파니우스의 “파나리온”을 인용하는데, 거기에는 성모(the holy mother)인 동정녀 마리아에게조차 세례를 베푸는 일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져 있다.
그리고 에피파니우스는 컬리리디안들의 성찬예식이 일종의 희생제사였다고 증언하고 있으며, 성찬예식이 끝난 후 그들이 빵을 이상스럽게 먹었다고 한다. 혹시 이들이 성찬의 빵을 손으로 받아서 먹지 않고 그냥 입으로 받아 먹었는지 모르겠다. 작금 천주교회의 일부에서 이러한 행태(성체 입으로 영하기)가 벌어지고 있는데, 특히 사이비 마리아 발현(한국 나주, 암스테르담, 메쥬고리예, 미국 베이사이드 등) 추종자들에게서 이러한 것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최후의 만찬에서 주 예수님께서는 빵을 손으로 떼어주셨고 사도들은 이를 손으로 받아먹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의 증언대로 성찬예식을 거행하면 되는 것이다.

사단의 집단 컬리리디아니즘이 역사에서 사라진 것이 5세기라고 한다. 그런데 5세기에는 에베소 공의회(431년)와 칼케톤 공의회(451년)가 있었고 이들 신조에는 마리아의 이름 앞에 theotokos(하나님의 어머니)라는 단어가 붙었다. 그러나 데오토코스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옹호하고 강조하기 위해 붙여진 것이었지, 마리아의 공경(숭배)을 위해서 사용되어진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대단히 불행하게도 작금 천주교회의 대부분은 이 용어를 분명히 남용 내지 오용하고 있다. v 5세기에 이 사이비 이단 집단이 사라진 것과 동시에 데오토코스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이 단지 우연의 일치라고만 볼 수 있을까?

현 “가톨릭교회 교리서”(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467쪽에는 칼케톤 신조의 국역 전문이 실려 있다. 이 신조를 자세히 읽어보라. 이 신조가 마리아를 높이고 찬미하기 위해서 데오토코스를 붙인 게 아니라는 걸 그 누구나 잘 알 수 있다.
청원서에 의해 두 교황이 무염시태와 몽소승천의 교리를 선포한 나쁜 선례를 남기자, 곧 이어서 성모 공동구속자(구세주. 구속주)라는 정말로 웃기는 교리를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년)를 통해 가톨릭 교회의 믿을 교리로 선포하기 위해 많은 주교들이 끈질긴 시도를 했었으나 표결에서 근소한 차이로 지는 바람에 이 공의회에서 거부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이 시도가 포기되지 않은채 성직자(추기경들+대주교들+주교들+신부들+수녀들)와 신자들이 수많은 청원서를 교황청에 계속 보내고 있는데(본보 04. 10. 24. 1면 참조), 이를 전 교황 고 요한 바오로 2세와 현 교황 베네딕도 16세가 단호히 거부함으로써 아직 ‘마리아 공동 구세주’교리는 발표되지 않고 있다. 필자는 앞으로 약 50여년 후에는 성모 공동구속자 교리가 역시 천주교회의 믿을 교리로 선포되리라고 추측한다. 이 때가 마리아를 신으로 숭배코자 하는 컬리리디아니즘의 완전한 승리의 때가 될 것이다.

 

 

마리아를 신격화 하는 천주교회와 컬리리디아니즘(Collyridianism) 4 <끝>

천주교회 마리아숭배 이젠 ‘공동구세주’로?
화체설의 성체성사도 결국 미신화로 변질
천주교인들 기적 좋아하는 이유 여기있어

컬리리디아니즘의 교리들이 천주교회에 들어온 것을 처음 알았던 때부터 여러달 동안 충격에 휩싸여 있었다. 그래서 우리 카페 운영자 비오(4대 천주교 신자) 후배와 서로 전전긍긍하면서 이걸 밖으로 발설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몇달후 이걸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게시판에 조금 공개하니 거기 관리자가 그럴 리가 없다고 해서 증거자료 몇을 올리니 곧 잠잠해졌다. 그후 이곳에 반복된 자료를 여러번 더 올렸다.

 

또한 한국 천주교 서울대교구(굿뉴스) 게시판에도 이걸 여러번 올렸고 전 서울대교구 지구장 신부 한명에게도 알려줬다. 심지어 작년 봄에는 에피파니우스를 언급한 광주 가톨릭대학 교수 노성기 신부에게까지 전화하여 이를 알려주었다. 당시 그는 컬리리디아니즘이란 말에 대해 금시초문이었다. 이렇게까지 해도 한국 천주교회측에서 여기에 대한 어떠한 태도도 밝히지 않았다.

한편 한국 천주교회측 고대교부 연구 사이트 두 곳과 한국 동방 정교회 고대교부 연구 사이트 한 곳에 이 자료들의 일부를 올렸더니 세 곳 모두 다 자료들을 삭제한 뒤 강퇴시켰다. 그래서 결국 교회연합신문에 도움을 구하여 일이 이렇게 성사된 것이다.

이것이 여기에서 컬리리디아니즘을 폭로하게 된 간략한 원인과 그 과정이다. 즉, 한국 천주교회측이 이 일에 대해 할 말이 아무것도 없다는 말이다. 현재까지 필자가 아는 한 마리아의 이름으로 행한 희생제사의 원조도 역시 이 사이비 이단집단이다. 정통교부들 중 성찬예식(성체성사)을 희생제사의 개념으로 이해한 분들은 단 한 분도 없고 모두 다 감사제사의 개념으로 이해했다고 한다. 미사에 있어서 희생제사의 개념이 천주교회에 처음 도입된 것이 라테란 제12차 공의회(1215년)이고, 이 개념이 확정된 것은 트렌트 제19차 공의회(1545~63년)이다. 천주교회는 교황이 새로운 교리를 발명할 권한은 없지만 교리를 해석하는 지상의 유일한 해석자라고 주장해 오고 있다.

 

작금 천주교회는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이다.”의 “…이다.”가 실제로는 “…으로 변화된다.”의 의미라는 황당무계한 주장을 해 오고 있다. 스콜라신학의 화체설(실체변화, transubstantiation)은 빵과 포도주가 실체와 형상이라는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다고 파악하여 미사 중 사제의 축성 후 이것들의 형상(형식)은 변화되지 않고 이것들의 실체(본질)만 실제의 주님의 몸과 피로 변화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물질(사물)을 본질과 형식의 이중구조로 파악하는 것은 현대과학에 의해 미신으로 밝혀졌다.

 

칼빈은 성찬예식 후의 빵과 포도주가 그때부터는 보통의 단순한 그것들이 아닌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그 무엇, 곧 신비 그 자체로 변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도 칼빈의 이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년)는 희생제사의 개념을 약화시키고 그 대신 감사제사의 개념을 강화시켰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루터와 칼빈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사이비 마리아 발현들은 교황직(권)의 절대성과 희생제사의 절대적으로 강화된 개념을 가지고 반드시 나타난다. 그리고 요사이 미국 EWTN이 이러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런데 한국 주교들의 대부분이 반대하고 있는 나주의 윤홍선 율리아씨는 자신의 소변을 먹으면 치유기적이 일어난다고 비밀리에 선전하여 이 오줌(소위 율신액)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이다. 이것도 희소성의 원칙이 지배하는 모양이다.

천주교회에서는 축성된 빵(면병)에 절도 하고 기도도 올린다. 천주교회의 대부분의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은 기적만 일어나면 좋아서 그냥 맥을 못쓴다. 특히 마리아상에서 눈물, 피눈물이 나거나 면병(빵)이 피덩어리로 변하게 되면 더욱 더 그렇다. 성경이 그토록 사탄도 기적을 일으킨다고 경고하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그런지 한국가톨릭 대사전은 ‘기적’란에서 사탄의 기적은 아예 다루지도 않는다. 그러나 프로테스탄트의 Baker’s 신학사전과 미국 가톨릭대사전은 하나님의 기적과 함께 사탄의 기적도 동시에 다룬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을 흠숭지례(latria), 동정녀 마리아에게 바치는 것을 상경지례(hyperdulia), 천사들과 성인(남+여)들에게 바치는 것을 공경지례(dulia)로 구분하였다. 이것들도 데오토코스처럼 정당하고 올바르게 사용되어지기만 한다면 하등의 문제도 없겠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이렇게 구분함으로써 사람들은 마리아를 일종의 중보자(중개자, 중재자)로 착각하기가 십상이고 결국 이와 유사한 표현들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천주교회는 마리아 상경지례가 누가복음 1장 48절의 “주께서 이 여종의 비천함을 돌보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할 것입니다.”의 범위를 넘어서서는 안될 것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세계 3대 칼빈주의자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B.B.와필드 박사는 그의 저서 ‘기독교 기적론’(도시출판 나침반사) 162쪽에서 루르드의 수많은 치유기적들이 하나님의 역사라고 믿고 싶지만 176~217쪽에서 수많은 마리아 우상숭배, 신격화, 미신행위의 사례들을 열거한 후 결국 하나님의 역사가 아니라고 결론을 내린다. 앞으로 천주교회는 이 점에 대해 명심해야 할 것이다.

 

많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과 한스 큉 신부조차 인정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그 이전 공의회들과 비교해 보면 정말 놀랄만한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천주교회가 종교개혁자들이 인정한 초기 4개 공의회와 아우구스티누스로 돌아가지 않는 한 진정한 개혁은 항상 그 발목이 잡히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사이비 마리아 발현 추종자들이 교황청 뿐만 아니라 전세계 곳곳에 항상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글쓴 이      이 용섭

 

 

 

 

 

Collyridianism 기사를 가져온 곳
번호 : 269   글쓴이 : 이용섭
조회 : 10   스크랩 : 0   날짜 : 2004.10.12 13:08

1 File Found


Return to Search Form

The following file matches your search criteria. You can view the file by clicking VIEW after the file's name. If download of the file is available, you can download the file by clicking FTP after the file's name.


 
1.  COLLYRID.TXT -- 4/1/1996 -- VIEW
Patrick Madrid - Collyridianism

A heresy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that sought to deify the Blessed Virgin Mary. This article was taken from the October, 1994 issue of 'This Rock,' published by Catholic Answers. MADRID COLLYRIDIANISM HERESY MARY [HOMELIBR, Type=3 Code=EE]

 

 

 

 

 

위 글에 대한 천주교측의 반응... - -;

 

 

 

컬리리디아니즘(Collyridianism) | 묻고? / 알고!

2006.11.20 00:41

이글은 약간 돌은 머리를 가지고 계신 "이용섭" 이라는 사람이 개신교계 연합신문에 기고한 글입니다.

안티 나주모임의 지도자격 역할을 하고 계신 분인데, 나주를 반박하다가 결국 가톨릭교회 자체를 공격하고 계신 정신병자중의 정신병자죠...

 

 

이글의 포인트는 나주의 성모공동구속자설 주장과, 나주신자들도 혀영성체만 고집한다는 사실을 전체적으로 비꼬기 위해, 이 두가지 사실이 강조되어 있습니다만...

 

 

 실제로 컬리리디아니즘은 성모를 신으로 숭배하는 집단이었습니다. 이와 반대로 성모를 격하시키는 교단도 있었죠. 에피파니우스의 저서를 보면 이 두가지 이단이 모두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글의 문제점을 세세히 지적하자면

 

 

 

1. 이단들의 교리와 비슷한 교리는 다 이단이다?

 

컬리리디아니즘이 이단으로 정죄받은 이유는 성모를 흠숭했기 때문입니다. 컬리리디아니즘의 신자들이 성모승천이나 무염시태나 혀영성체로 이단으로 정죄받은것은 아니죠.

 

이단이란 특정 교리 몇몇 부분에서 이단적인 사설을 주장했기 때문에, 이단이 된것이지 이단의 교리중에 맞는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다는건 논리의 비약입니다.

 

삼위일체를 인정하는 이단들이 상당히 많다고해서, 삼위일체가 이단의 교리가 되는것이 아니듯..

 

 

 

2. 이용섭씨는 이글과 더불어 에피파니우스를 가톨릭이 홀대하는듯한 인상을 심어주어, 가톨릭이 조직적으로 은폐하고 있다는 의혹을 심어주려 애씁니다만....

 

 가톨릭 교회사가 여러가지 있습니다만,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게시판에서 조정제님이 추천하는 교회사 책이 있습니다...기억은 안나고 가서 게시판을 뒤져보시면 나옵니다만....

 

 에피파니우스에 대한 자세한 업급을 한 책들은 많습니다. 결코 가톨릭 교회에서 에피파니우스를 홀대한적 없습니다.

 

솔직히 교회사에 뻑적지근하게 나올 정도로 컬리리디아니즘이 대단한 이단은 아니죠...

 

 

3. 에피파니우스의 저서를 보면 에피파니우스는 "함부로 성모의 승천에 대해 단정짓는 것은 어렵고, 우리는 모르고 있다가 정답이다" 라는 식으로 말했지 에피파니우스가 몽소승천이나 무염시태를 부인한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실제 부인했다하더라도, 에피파니우스가 무류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으로 교회의 무류성에는 별반 타격을 주지 못합니다.

 

 

4. 가톨릭교회의 교리생성?

 

 

마치 저 글에서는 청원서땜시 교리가 만들어진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가톨릭 교회가 무슨 바보들의 행진쯤 되는 줄로 착각하시는데...

청원서가 10억통이 들어와도, 성전의 권위에 인준이 안되면 절대 교리화 되지 않습니다.

 

결국 이것은 믿음의 문제인데, 교도권의 무류성을 부인한다면 결국 사도단의 무류성도 날라가버리니, 그리스도교 자체는 사이비가 되는 거지요?

 

그때 청원서가 날라든 당대의 상황이 마치 믿을 교리 선포의 전부인양 왜곡하는 저런 글을 일고의 가치도 없습니다.

 

게다가, 함축적인 교리를 구체적으로 구체화 시키는 거하고, 없던 교리를 뿅하고 만들어내는 것하고 구별도 못하시는 저런 무식한....

가톨릭에서 무염시태와 승천교리를 만들어 낸게 아닙니다. 사실 마리아님에대한 교리는 상당히 발전의 속도가 느려서, 두리뭉실한 상태로 내려왔음으로, 자세히 하는 과정에서 이 두교리가 구체화 된 겁니다. 이해가시나요??

 

예를들어 삼위일체교리도, 성자가 구세주요 중개자요 하느님의 외아들이라는것 까지는 사도들의 시대에 자주 말해졌지만, 구체적인 성자의 본성에 관해서는 두리뭉실한 상태가 계속되어, 이단들이 아전인수격으로 성자의 신성을 깍아 내리기 시작하자, 구체화 시킨게 바로 삼위일체 교리죠...

 

개신교도들이 몽소승천과 무염시태교리가 교리의 창조요 생성이라 얘기하려면, 삼위일체도 생겨난 교리고, 구약에서의 계시의 진화도 유대인들이 없던 교리 만들어낸 거니까, 아예 성서 자체를 부인해야하는 전철을 밟아야 논리적으로 말이 되겠지요?

그럼 개신교도 역시 사이비로 전락하는거고...?

 

 

 

 

 

 

마지막으로 청하건데, 저런 글은 똑같은 글을 봐도 어떻게든 가톨릭 교회 꺼꾸러뜨리려는 못된 심보를 가진 사람들이 쓰는 글이니...

잘 판단하셔야 합니다.

 

 

저글은 완전 억측이며, 사실과, 사실에 대한 억지해석을 사실처럼 부풀려, 가톨릭이 마치 성모숭배집단인 것처럼 묘사해 놓은 글이니...

우리 교회사 공부를 더 열심히 해서, 저런 개다리소반같은 글에 흔들리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추가적으로....

 

이글의 필자는 무염시태를 확실히 인정한 교부가 에프렘 하나밖에 없다고 단언하는데, 다른 교부들은 직접적으로 언급만 안했지 성모의 완벽함은 증언했다고 합니다만...

 

이거 완전히 말장난, 성모의 완벽함을 증언했다는 얘기가 무염시태를 암시하는 것이 아니고 뭡니까? ㅉㅉㅉ...

 

 

두번째는 성화상 공경을 아우구스티누스가 반대했다고 ...

물론 성화상 공경을 반대한 교부들은 많았으나, 인정한 교부들도 많았고, 교회는 성화상에 대한 공식적인 반대입장을 교리로 선언한 적이 없지요...헐...이건 마찬가지로 교부들의 무류성을 주장하는 개신교의 황당한 쑈???

 

작성자의 카페글 더보기

아그누스데이

덧글 7개 | | 조회수 119
  • 2006/11/20 00:55

     

    감사합니다!!! 이런 자료는 어디서 보시나요???~~~ 가르쳐주세요~

  • 2006/11/20 01:13

     

    요건 간단하게 적은건데...
    글쎄요...열심히 교회사관련 책들을 사서 보시는 것이...ㅎㅎㅎ
    그리고 여기 스피리투님이 박식하시니 그분께 물어보심이 좋겠네요

  • 2006/11/20 01:21

     

    또한가지 컬리리디아니즘이 가톨릭에 영향을 준거면, 일찍 줬어야지... 세상에 거의 천사백년후에 영향을 줄건 또 뭡니까??? 이런거 개신교도들이 잘 써먹는 수법이죠... 그저 옛날에 비슷한거 찾아내면, 다 영향받은거라고 우기기...

  • 2006/11/20 05:05

     

    위에 글쓰신 분이 성찬례의 희생제사 개념에 대해서 초대교회때는 없었다고 하고 계신데... 예수님께서 분명히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먹으라. 이는 너희를 위하여 바칠 내 몸이니라. 라고 하셨는데 이게 희생의 개념이 아니면 무엇이죠? 희생 이라는것은 그리스도교의 핵심 교리이자 가르침인데 글이 참어이가 없군요.

  • 2006/11/21 10:04

     

    전례의 본질은 사도들이 있을때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교회 역시 그 때나 지금이나 본질은 같습니다. 구성원들의 인식차(?)가 있을 뿐입니다.

  • 2007/05/01 15:05

     

    이용섭입니다. 반박 글의 가치는 1%도 없다고 봅니다. 저는 동정녀 마리아님에 대한 공경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 2007/05/01 15:07

     

    위 글의 필자는 방송번역작가 서한규 선생인 것같은데 만약 맞다면 제가 그를 조금 알고 있고 그는 저를 반박할 실력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는 영어 실력은 뛰어납니다.

 

 

스피리투
2006/11/20 21:42

 

팩션이라하죠? 저런 글을..몇가지 팩트만 추려내고 나면 나머지는 정해진 결과로 가기위한 ..겉으로 보기에는 추리하는 듯 보이는 삼류소설이 됩니다. 다빈치 코드죠. 성모마리아 신심을 공격하기 위한 글입니다. 물론 성모님을 신으로 섬기면 그것은 우상숭배이며 이단입니다. 나주에 열광적으로 반대하시는 분으로 알고 있습니다.

 

  • 2006/11/20 21:44

     

    그분들께 충고해드립니다. 예수님이 하느님이심을 부인하던 이단이 발호하던 시기에 교회의 변호자로 열광적으로 예수님의 신성을 변호하며 이단에 반대하다가 결국 예수님께서는 참인간이심을 잊어버림의 오류로 빠져들었던 이단들의 전철을 밟지 않기 바랍니다. 주님의 은총이 가득하시고, 성모님께서 함께 하시길~~

  • 2007/05/01 14:43

     

    위 글의 필자 이용섭입니다. 우연히 이 곳을 발견하여 회원 가입 완료했습니다. 앞으로 건전한 토론을 원합니다. 그럼...

  • 2007/05/01 15:33

     

    위의 제 글들은 교회연합신문 사장 강춘오 먹사가 제 멋대로 수정을 하였기에 나중에 개신교 인터넷 신문 당당뉴스에 제 원고대로 다시 올렸었습니다. 기회가 되면 다시 퍼올테니 건전한 토론을 원합니다. 저는 아직까지는 정통성이 천주교회에 있다고 보고 있는 사람이니 오해가 없기를 바라겠습니다. 그럼...

  • 2007/05/01 15:35

     

    저에게 마리아님이 함께 하실 필요는 없으십니다. 오직 저에게는 성령님의 충만하심이 필요합니다. 아멘 !

  • 2007/05/01 15:57

     

    님이 이용섭씨군요?

  • 2008/08/02 18:44

     

    그런데 위에서 암스테르담을 사이비발현이라고 매도했는데 암스테르담이 2002년 공식인준된걸 모르나보지요.

  •  

    이 돌
    [2006-11-10]211.118.xxx.164
     그렇습니다. 이용섭님..
    교회연합신문에 있었던 일로 너무 격한 표현은 마시고 그 일은 다 잊으시고 여기선 여기대로의 룰에 따라 이용섭님의 본 원고를 그대로 올릴 수 있는 기회니 그렇게 그대로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당당은 교정은 하나 본 원고 수정은 안합니다. 만약 수정을 해도 원고의 본 뜻이 변치 않음에 맞게 수정은 해야 하는 것이 정석이라 봅니다.

    그리고 이 차제에 제 경험을 말씀 드리자면, 과거 뉴조 시절 초기에 기자 회원으로 저도 글을 뉴조에 많이 올린 바, 대개는 수정 없이 잘 올려 주어서 기쁜 마음으로 열심히 올리는 가운데 유독 조용기 목사의 왜곡 비평글은 편집진에서 아예 차단 글을 올리지 않기에 아! 이거 진리를 사람이 막는구나고 판단하여 그때 부터 기자 회원 그만 두고 글을 올리지 않았습니다.

    다른 교회나 지도자 비평은 다 받으면서 무엇 때문에 조 목사의 비평은 가리는지 .. 그 이유가 너무 뻔해서 기지회원을 떠난 후 이어 게시판 활동을 하다보니 아니나 다를까 조 목사에 대한 비평은 자게판에서도 뉴조 관리자가 앞서가며 막았습니다.
    이후 자게판이 완전 드러난 여증 등의 사이비이단이 활동하는 게시판이 되었지만 전혀 관리가 없었습니다.
    결국 지금에 보니 뉴조도 상업화 언론의 길을 전혀 걷지 않는다고는 보지 않습니다. 또한 현재 올라오는 글들은 대체로 수구 보수의 쾌쾌묵은 지난 신학론이나 신학교단에서 가르치는 교수 진의 교안의 수준을 넘지 못하는 그야말로 또 다시 이전에 그렇고 그런 교단지에서 늘 올라오는 내용들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일관하는 것 같아 ...
    영 볼일이 없고 영양가가 없는 글들이라 제 개인적으론 그렇게 보고 있는 중 입니다.
     
     

     트레드
    2007/05/02 11:11
    도대체 이런 글을 올리시는 저의가 무엇인지요? 그리고 님은 천주교 신자이신지? 아니면 반 가톨릭적인 개신교 신자이신지?

     lys979111
    2007/05/02 11:33
    제 글들이 이 곳에 올라서 뭇매를 맞고 있는 걸 어제 우연히 발견해서... 그리고 뒤의 댓글에서 제가 "아직까지는 정통성이 천주교회에 있다고 보고 있다"고 썼는데...

     lys979111
    2007/05/02 11:34
    정말로, 진실로 반 가톨릭적인 개신교 신자들을 못 보셨군요 ?

     트레드
    2007/05/02 12:05
    너무도 많이 봐 왔고 그들이 낸 책자들도 여러 권 봤습니다. 그 책자 내용 중 일부 혹하는 내용도 있지만, 어느정도 정통교리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그들이 너무도 가톨릭 교회에 대해 모르고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게 많구나!! 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lys979111
    2007/05/02 12:28
    제가 반 천주교가 아니라는 건 저희 안티나주 운영자 김영태 비오 후배가 가장 잘 압니다. 그는 현 45세이고 전 가톨릭신문 기자이며 제 4대 천주교 신자입니다. 그의 연락처 017-501-0743

     트레드
    2007/05/03 16:57
    반 가톨릭이란, 가톨릭 교회에 무조건 반대하는 세력들만이 반 가톨릭은 아니지요!! 일부 교리를 수용하지 못하고 사적으로 해석하는 것 또한 반 가톨릭이라 할 수 있습니다.

     lys979111
    2007/05/04 13:10
    "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정통고대교부들에게 충실하자는 것 뿐입니다. 일부 교황들이 정통고대교부들보다 위라는 말입니까 ? 그렇다면 천주교회도 신흥종교에 불과합니다. 정통고대교부들=성전=전승=traditio

     스피리투
    2007/05/08 17:31
    성에피파니오는 반대한게 아니라 '모르겠다'라고 한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그의 말에서 몽소승천을 부정하지도 반대하지도 않음을 알수 있습니다. 성인이 하신 다른 증언은 없었나요?

     스피리투
    2007/05/09 10:01
    그리고 컬리리디아니즘은 이미 언급되고 있습니다. 성에피파니오는 두 가지 이단에 대항하였는데 하나는 성모마리아의 평생동정성을 부정한 이단, 다른 하나가 성모마리아를 여신으로 숭배하는 이단 즉 컬리리디아니즘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컬리리디아니즘은 마치 예수님의 신성을 강조한 에우티케스 같은 이단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하느님이신것은 맞는데 인간이신 것도 맞습니다. 반대로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는 맞으시지만 여신은 아니십니다. 혼동하지 마시고 다시 fact만을 모으시되 거기서 님께서 유추하고 판단하는 것은 보류하십시오. 주님의 은총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천주교회는 진정 개혁으로 나아갈 것인가?
    마리아 발현 추종세력들이 문제, 천주교에도 종교개혁 지지자들 있어
    입력 : 2006년 11월 12일 (일) 00:00:00 [조회수 : 540] 이용섭lys979111@naver.com

    교황의 수위권과 무류성 스스로 부정돼야

    16세기 종교개혁을 대단히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한 천주교회 고위 성직자들도 일부이기는 하지만 있었다. 이것의 예를 천주교회의 교회사가들이 가장 많이 드는 인물이 클레멘스 마리아 호프바우어(Clemens Maria Hofbauer, 1751~1820)로 그들의 성인 반열에 오른 이른바 ‘성인(聖人)’이다. 그는 지성 구세주회의 알프스 북부지방 책임자였고 오늘날 ‘비엔나의 사도’라고 일컬어진다. 그는 1787년부터 21년 동안 폴란드의 바르샤바 독일인 거주지에서 사목자 겸 교황사절로 활동했었다<고 한다>
    .
    그가 거기에서 비엔나로 돌아온 뒤 바르샤바의 사목생활을 회상하면서 쓴 한 서신을 남겼는데 거기에서 그는 “저는 교황 사절로서 폴란드의 가톨릭 신도들의 상태와 독일에 있는 개신교의 상황을 비교하는 입장에 있은 이후로 독일민족이 교회에서 이탈하여 나간 것은 그들이 종교적 백성이 되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행동하였기 때문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종교개혁은 이단자들이나 철학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마음의 내적 종교를 절실하게 추구하던 경건한 이들에 의해서 뿌리를 내리고 전파되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사실을 교황과 로마의 추기경들에게 말씀드렸지만 그분들은 저의 말을 믿으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종교개혁의 원인은 가톨릭교회에 대한 증오였다고 고집하여 주장하고 있습니다.”라고 쓰고 있다. 이 편지는 1816년 9월18일에 쓰여져서 한 출판업자에게 보내진 것이다.

    이 천주교회의 성인에 대하여 현대 독일의 교회사학자 아우구스트 프란츤 신부는 그의 ‘교회사’(분도출판사) 286쪽에서 “성 글레멘스 마리아 호프바우어(+1820)가 ‘종교개혁은 독일 사람들이 열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일어났다’고 말하였을 때, 그것은 올바른 판단이었다.”고 평가 하고 있다.

    필자는 1977년 성탄 전날 천주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햇병아리 그리스도인이 되었는데 당시 마르틴 루터나 캘빈 등에 대하여 무척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얼마 후 당시 한국 모 수도회 최고 책임자 박모 신부를 서울 우이동 명상의 집 피정센터(예수고난회에서 운영)에서 만났는데 그때 그는 “루터가 옳았다. 믿음으로써 의로와지는 게 맞다.”고 말하여서 얼마나 놀랐었는지 모른다. 그는 폴란드 출신 미국인인데 한국어에 도가 튼 천주교 신부이다. 그는 지금 강원도 모처에서 살고 있다.

    1963년 9월29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제2회기 개막식에 참관인 자격으로 나온 정교회측 인사들에게와 1963년 10월17일 프로테스탄트측 인사들과 동석한 모임에서 이들에게 교황 바오로(Paulus, 1963~1978) 6세는 “우리에게 교계의 분열에 대한 잘못이 있다면 우리 가톨릭교회는 하나님께 뿐 아니라 우리한테서 상처를 받았다고 느끼는 갈라진 형제들에게도 용서를 청합니다.

    우리 편에서 가톨릭교회가 받은 피해를 즐거운 마음으로 용서하고 오랜 기간의 분쟁을 통해서 받은 고통을 잊겠습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이러한 우리의 선언을 받아 주시고 우리 모두가 참다운 형제적 평화를 되찾도록 해주셨으면 합니다.”라고 선언하였다.

    1974년 미국의 천주교회와 루터교회는 서로가 합의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는데 그 선언문 중에는 천주교회가 그들의 초대 로마<주교>[감독](교황)라고 아주 오랜 옛날부터 주장해오고 있는 사도 베드로에 관하여 “베드로가 로마에 갔었고 그곳에서 순교했다는 데에 사람들의 의견이 갈수록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베드로가 일찍히 우두머리 혹은 <주교>[감독]으로서 로마지역 교회를 통괄했다는 것에 대한 믿을 만한 증거는 없다. 신약성경으로부터도 로마에서의 베드로 후계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찾아 읽을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져>[하고} 있다.

    그런데 바로 이것을 캘빈이 16세기에 그의 ‘기독교 강요’에서 분명히 언급한 바가 있다.

    캘빈은 자신의 ‘기독교 강요’에서 자신도 고대교회의 <주교(감독)>
    [감독(주교)] 제도를 찬성한다고 여러번 밝혔다. 이와같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로 천주교회는 진리와 역사적 사실에 가까와지려고 무척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이러한 노력에 역행하는 반동세력이 천주교회 안에 적지 않다. 그들은 다름아닌 사이비 마리아 발현 추종세력들이다.

    작금 천주교회는 자기들의 과거 잘못들을 감추거나 교언영색과 감언이설로 합리화시키는데 도사들이다. 그러므로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작품들은 일점일획 수정됨이 없이 지금도 각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고 있지만, 16세기 교황주의자(예, 존 엑크 신부)들의 저서들의 번역판들은 우리나라에서 눈을 씻고 볼려고 해도 볼 수가 없다.

    그리고 16세기 종교개혁 이전에는 천주교회가 의인(의화, justification)에 있어서 믿음(신앙)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것의 증거는 1530년의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제20조 ‘믿음과 선행에 관하여’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거기에는 “이 밖에도 그들(주, 교황주의자)은 이제까지 전적으로 침묵을 지켜온 신앙을 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리가 행위만으로는 의롭게 되지 못한다고 그들이 가르치기는 하지만 아직도 믿음과 선행을 결합시키며 또한 믿음과 행위로써 의롭게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르침은 전의 것보다는 퍽 나은 편이며, 그들의 옛 교리에 비하여 다소 위안을 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회의 주요한 교리가 되어야 할 신앙에 관한 가르침이 믿음의 의에 관한 설교 가운데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을 모두가 인정할 수 밖에 없도록 오랜 동안 계속되었으며, 오직 행위의 교리만이 교회 안에서 취급되어 왔습니다.”라고 기록되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 요한 바오로 2세는 의인(의화) 문제에 있어서 1999년 10월31일 종교개혁 기념일에 루터교회와 루터의 <것으로>[의인교리로] 공식합의<하였다>[한 바 있다](조선 99.11.2 8면, 동아 99.11.2 A11, 평화 99.11.7 1면톱. 11.7 일반 11.7. 사설 99.6.20. 1면톱. 6.20일반 등).

    필자 주 / 위 글 중 <...>는 교회연합신문 발행인 강춘오가 제 멋대로 내 원고를 삭제시킨 부분이고 [...]는 강춘오가 자기 마음대로 내 원고에 만들어 넣은 부분이다.

     

     

     

    천주교회의 공의회는 과연 무오한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도 무오<無誤>하지 않아, 마리아 신격화 시도 근절 못해
    입력 : 2006년 11월 13일 (월) 00:00:00 [조회수 : 293] 이용섭lys979111@naver.com
    천주교 ‘마리아교’라는 비난 감수해야 마땅

       
    ▲ 1962-65년 열렸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과는 전세계 지역교회의 사목과 교회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교회사가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한국 천주교회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들 말한다.
    천주교회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년)까지의 21회의 공의회가 그들만의 공의회라고 주장하고 자랑해 오고 있다. 그들은 이 21회의 공의회의 결의(결정) 사항에 전혀 오류가 없다(소위 공의회의 무류성)고 주장한다. 그러나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은 모두 일치하여 이들 중 제1차 니케아 공의회부터 제4차 칼케톤 공의회(451년)까지만을 인정하여 받아들였다.

    마르틴 루터는 원래 필자처럼 모든 공의회가 무류성을 지닌다고 생각했었으나 제16차 콘스탄츠 공의회(1414~18년)의 목적 중의 하나가 [보헤미야의 개혁자] 요한 후스(1370~1415년) 신부를 화형에 처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알고는 공의회의 무류성을 포기하게 되었다. 후스 신부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체코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아 오고 있는데 <대>교황 고 요한 바오로 2세는 1999년 12월18일 체코 대통령 하벨과 체코 국민에게 이 문제에 대하여 사죄했다(동아. 99. 12. 20. A12면).

    필자가 공의회의 무류성에 대하여 의혹을 품게 된 것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수많은 주교[(감독)]들이 동정녀 마리아를 신격화 시키려 했었다는 것을 알고 나서부터이다. 즉 그들이 교황 비오 9세의 1854년 성모 무염시태 교리 선포와 교황 비오 12세의 1950년 성모 몽소승천 교리 선포도 성에 차지 않아서 마리아에게 공동(쌍) 구세주, 중보자(중개자. 중재자), 위로자(변호자. 협조자 등)의 칭호를 붙이려고 필사적으로 시도했었다고 하는 것을 알고 나서부터이다. 이것이 도대체 있을 수가 있는 일인가?
    이러고도 수많은 천주교인들이 자신들은 마리아교도가 아니라고 항변하니 도대체가 기가 찰 따름이다.

    성경은 주 예수님께서 유일하신 중보자(중개자·중재자)라고 증거한다. 중보자를 헬라어로 메시테스(μεσιτηV)라고 쓴다. 또한 성경은 주 예수님을 유일하신 구세주(구속자. 구속주. 구원자)라고 부른다. 구세주를 헬라어로 소테르(σωτη’ρ)라고 표기한다. 그리고 성령님을 파라클레토스(παρα’κλητοV)라고 부른다. 파라클레토스는 변호자, 위로자, 협조자, 보호자, 보혜사 등으로 번역된다. 이것은 영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신약성경 요한일서 2:1에서 유일하게 이 파라클레토스가 주 예수님께 적용되기도 한다. 가톨릭교회 교리서에서 천주교회는 “<1.>하느님의 이름은 거룩하시다. <2142>둘째 계명은 하느님의 이름을 존경할 것을 명한다. 이 계명은 첫째 계명과 마찬가지로 경신덕에 속하는 것이며, 거룩한 것에 대하여, 특히 우리의 언어 사용을 규제한다”고 명백하게 기록하고 있다. 즉, 중보자와 구속자(구세주. 구속주 등)와 파라클레토스의 여러 의미들이 피조물에게 사용되어져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수많은 주교들이 동정녀 마리아에게 ‘공동구세주’와 ‘모든 은총의 중보자’의 칭호를 붙이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하여 결국 1963년 10월29일에 그 문제가 표결에 붙여졌었는데 찬성한 주교는 1074명이고, 반대한 주교는 1114명이며, 기권(무효)한 주교는 5명이었다. 즉 50.9%라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마리아 신격화 시도를 막았다.

    이 내용은 클라우스 샤츠의 ‘보편공의회사’(분도출판사) 369~370쪽에 나온다. 그러나 비슷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전 가톨릭대학 교회사 교수 김성태 신부가 번역한 ‘마리아-오늘을 위한 마리아론 입문’(성바오로출판사) 85~87쪽에는 마리아에게 ‘중보자’의 칭호를 붙이려고 했었던 시도에 대해서는 언급이 되고 있지만 ‘공동구세주’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이 없다. 혹시 독일어 원서에는 있는 말을 번역과정에서 고의로 누락시킨 것인가? 독일어 원서를 확인하지 못했으므로 지금은 사실확인이 어렵다. 그러나 이 책의 다른 곳인 81쪽에는 공동구세주(구속자)라고 번역된 말이 분명히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다른 문제들에 대한 표결 결과를 보면 개혁적인 주교들이 거의 다 절대 다수로 이겼지만 유독 마리아 문제에 있어서만 아슬아슬하게 이겼다. 이러고도 공의회의 무류성에 대하여 의심을 품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나주 윤홍선 율리아 교주의 사이비 마리아 발현의 메시지(사적 계시)에는 주 예수님만이 유일한 구속주(구세주)로서 나타나시고 마리아와 교황, 추기경들, 대주교들, 주교들, 신부들은 공동구속자로 말을 바꿔 나타난다. 이렇게도 해괴망측하고 간교한 메시지가 또 어디 있을까? 그러나 독일어 번역서인 위 샤츠 신부의 보편공의회사 369, 370쪽에는 miterloserin(o 위에 움라우트)
    이 공동구세주로, 328쪽에는 공동구원자(구속자)로 번역되어 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마리아 문제를 어쩔 수 없이 당시 교황 바오로 6세의 주선으로 마리아 신격화 반대파 주교들이 마리아 신격화 찬성파 주교들과 타협한 것으로 보인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마리아 장 62에는 “그 때문에 교회에서는 복되신 동정녀를 변호자, 보조자, 협조자, 중재자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그러나 이것은 유일한 중재자 그리스도의 지위와 효능을 조금도 감하지도 가하지도 않는다는 의미로 알아들어야 한다.”고 쓰여져 있고, 54에는 “그러나 마리아에게 관한 교리를 전부 설명하거나 신학자들의 노력으로도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성교회 안에서 그리스도 다음으로 가장 높고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자리를 차지하시는 마리아에 대하여 여러 가톨릭 학파에서 자유로이 논의되는 학설들은 그 권리를 보장받고 있을 것이다.”라고 쓰여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류성이 있는 공의회라면 마리아에게 성령님을 가리키는 명칭들과 중보자의 명칭이 붙여지는 것을 단호히 거부했었어야 했다. 그리고 마리아에 관해 더 알아야 할 것이 무엇이 있는가? 아직까지도 사적 계시 타령이나 계속 늘어놓으려는 것인가?

    필자 주, 위 글 중 <...>는 교회연합신문 발행인 강춘오가 제 멋대로 내 원고를 삭제시킨 부분이고 [...]는 강춘오가 자기 마음대로 내 원고에 만들어 넣은 부분이다.

     

     

     

     

     

     

     

    COLLYRIDIANISM에 관한 자료, 졸역 
    <미국 EWTN의 기사, 오역 지적 요망> 논쟁의 배경, 주요한 오류들, 정통교회의 응답 
     
     
     입력 : 2006년 11월 13일 (월) 00:00:00 [조회수 : 278] 이용섭lys979111@naver.com 
     
     
    시기  350-450

    창시자 모름

    논쟁의 배경

    초기 사이비 이단들의 대부분은 사실상 삼위일체론이나 기독론에 있었지만 컬리리디아니즘만이 홀로 축복받은 동정녀 마리아를 신으로 모시기 위하여 노력한 하나의 사이비 이단으로서 우뚝 섰다. 이 운동의 신학에 관하여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심지어 그 집단의 지도자들의 이름 조차 그 시대의 저작자들에 의해서 결코 언급되지 않는다. 이 종파의 과도한 마리아 열성심은 마리아 숭배라는 우상숭배로 발전되어 나갔다. 이 탈선은 교회의 올바른 마리아 공경, 즉 영원한 동정녀, 하느님의 어머니, 그리고 강력한 하늘의 전구자라는 가르침 밖에서 성장하여 어떤 그리스도인들이 마리아를 신으로 숭배하기 시작했을 때 정통교회의 선을 넘고 말았다. 컬리리디안들에 관한 보고서는 빈약하지만 우리가 그들로부터 아는 몇몇 특징들 중의 하나는 그들의 성찬 예식에서 빵이 마리아에게 희생으로서 제사드려진다는 것이다.

     

    주요한 오류들

    컬리리디안들의 사이비 이단설은 대단히 단순하다. 그들은 마리아를 신으로 숭배한다. 이것은 가톨릭회의 우상숭배 정죄에 직접적인 싸움이 되었다.
    우상숭배는 하느님 그 자신이 정죄했다. "너희들은 내 앞에서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 너희들은 너희들을 위하여 새긴 상(조각상,주)을 만들지 말고 하늘 위에 있는, 땅 아래에 있는,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어떤 것의 어떤 유사함( 화상,주)도 만들지 말라. 너희들은 그것들에 업드려 절하거나 섬기지 못한다.
    너희 하느님 주님인 나는 질투하는 하나의 하느님이기 때문이다"(출애급기 20:3-5, cf, 신명기 5:7 6:14 고린토 전서 4:8-6 10:19-20 에페소서 5:5). 이 처벌의 선고는 정의를 성상 숭배에 적용하지 않고 하느님 이외에 어떤 것의 숭배에 적용한다.

     

    정통교회의 응답

    컬리리디안들의 가장 열심인 반대자가 살라미스의 주교 에피파니우스(315-403, 출생년도 잘못된 것 같음. 99세에 선종했다고 알고 있음,주)였다고 하는 것은 풍자적이다. 그는 그의 학식과 거룩한 수도생활로 명성이 널리 퍼졌었다.


    그는 제롬(예로니모,주)의 가까운 친구였다. 하지만 그는 거칠고 화를 잘 내는 사람이라 많은 적들을 모았고 거기에는 동료 주교들도 여럿 있었다.

     

    컬리리디안들을 진압한 에피파니우스의 공헌은 칭찬받아 마땅하고 그들의 우상숭배에 반대한 그의 신학적 성서적 논거도 건전했지만 그 자신이 영예로운 하느님의 친구들이라는 범위에서도 오류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컬리리디안들의 우상숭배에 대한 그의 반대의 맹렬함은 그의 열광적인 이콘(성화상,주) 반대에 의해서 필적할 사람이 없게 되었다.

     

    하나의 묘사 속에서 그것은 이콘과 성상 공경 그리고 가톨릭 마리아 교리의 어떤 현대 근본주의자(극단적 보수주의자를 말함,주)인 반대자들을 생각나게 한다. 초기 교부학자 알로이즈 덕슨은 (C.P.P.S.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음,주) 에피파니우스를 "그에게 불가능한 학문적 작업을 위해 조용한 객관성을 필요하게 만드는 불 같은 기질과 비합리적인 열렬함"을 가진 사람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의 좁은 마음은 그가 성상 공경을 공격한 맹렬함과 오리게네스 주의자 논쟁에서 그가 했던 역할에서 명백하다.

     

    "그는 이 우상숭배를 심사숙고했고 심지어 그의 유언장에서 로고스 하느님의 그림 한장을 황홀하게 쳐다보는 어떤 사람조차 저주했다. 그의 기질은 어디에서나 그가 사이비 이단을 의심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는 심지어 진술의 가장 작고 사소한 것조차 큰 것으로 만들었다. 그가 그 자신을 제외하고 어떤 관점을 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비평적 통찰력이 결핍되었고 초라했었고 심지어 지루한 저작자였다. 그의 저작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그의 많은 인용들이 없었더라면 거의 가치가 없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다른 방식으로 우리에게 분실되었을지도 모르는 많은 것을 구했다"(기초 교부학 [성 루이: 목자, 1959], 117).
    ................................................................................................

    성 루이(Louis : Ludovicus) 소개

    제6회 십자군 원정: 1248-1254 프랑스 왕 성 루이 9세는 우선 에집트를 정복하고 나서 성지를 점령하려 하였다. 1250년 4월 프랑스 군대는 카이로에서 완전히 패전하고, 왕과 함께 모두 포로가 되었다. 루이는 1270년에 십자군을 다시 일으키려 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실패하였다. 위대했던 시기는 이미 지나갔었다. 1291년 마침내 아콘과 그밖의 십자군 도시들을 다 잃었다.

    아우구스트 프란&#52184; 교회사 230쪽 인용 최석우 신부 역 분도출판사
    .....................................................................................................

    에피파니우스는 컬리리디안들에 반대하여 그의 가장 중요한 변증서인 파나리온(약 상자 [374-377]), 즉 그에게 알려진 80가지 사이비 이단설을 반박하는 역서를 썼다. 그는 두 가지 극단을 반박했고 그의 시대의 마리아 사이비 이단설을 정반대로 반대했다. (마리아를 과도하게 찬양하는) 컬리리디아니즘과 안티디코마리아니티즘, 즉 마리아의 신분과 미덕을 격하시키려는 하나의 아라비아인들의 운동, 주장의 요점은 "그리스도의 출생 후 거룩한 마리아는 한 남자와 성 관계를 가졌는데, 말하자면, 요셉"이라는 것이다(파나리온 78: 1).

    컬리리디안들은 첫번째로 이교도 여신 숭배 관습들과 가톨릭 교리의 혼합주의적 결합을 발전시켰던 여성들이었다. "무시무시하고 불경스러운 예배(의식)"를 묘사한 후 그들은 하나의 의자나 혹은 하나의 정사각형 옥좌를 장식하고 그들의 예배를 위해 아마포 천을 그것 위에 펼쳤다. 에피파니우스는 "거기 아라비아에 있는 어떤 여성들이 트라키아인들로부터 받은 이 정신 나간 가르침을 소개했다:


    그들이 영원한 동정녀 마리아의 이름으로 빵 덩어리들을 희생제사로 바치고 모든 이들이 이 빵을 먹는 방식"을 쓰고 있다(파나리온 78:13). 그는 하느님과 마리아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그들이 받아 마땅한 것들을 초월하여 성인(성자)들에게 영예를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 같은 책 78:23): "지금 마리아의 육신은 정말 거룩하였지만 그것은 하느님이 아니다: 그 동정녀는 정말 하나의 동정녀였고 존경받아야 하지만 그녀는 숭배를 위해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다.

    다만 그녀 자신도 그녀로부터 육신으로 태어나신 그분을 숭배하였다.
    마리아를 영예롭게 하라. 그러나 성부님과 성자님과 성령님께 숭배를 바치도록 하라. 그러나 마리아를 숭배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도록 하라. 마리아가 가장 아름답고 거룩하고 공경받을만 해도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숭배받아서는 안된다"(같은 책 79: 1, 4).

     

    에피파니우스와 함께 우리는 마리아나 혹은 어떤 다른 피조물을 숭배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우상숭배의 대죄를 범하고 있고 비난&#48715;아 야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현대의 컬리리디안들을 타이르는 방법을 알기 위하여 사도 요한 자신이 우상숭배의 유혹에 빠지려는 것을 비난한 천사의 경우에서, 즉 성서로 눈을 돌려야만 한다 :"이것에서 내가 그를 숭배하기 위하여 그의 발 아래에 절하려고 했다. 그러나 그는 나에게 "그것을 하지 말라 ! 나도 예수님의 증언을 고수하는 너와 네 형제들과 함께 하나의 동료인 종에 불과하다. 하느님을 경배(숭배) 하라 !"(요한묵시록 19 : 10).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우리의 부인(성모,주)그녀 자신도 자신을 숭배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이것을 말하고 싶을 것이다.

     

    현대의 유사점들

    컬리리디아니즘은 오늘날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스도를 배제( 혹은 거의 배제)할 만큼 그녀에게 초점을 맞추거나 과도하게 마리아를 찬양하는 이들 "하이퍼-마리안" 집단들과 저작자들은 우상숭배로 접근하는 어떤 것의 죄를 범하고 있다. 현대 여성 해방론은 여성적인 용어로 하느님의 상을 다시 세우려고 노력하거나 하나의 "어머니 여신"을 숭배하는 재생된 컬리리디아니즘의 원천이다.

    COLLYRIDIANISM

    Patrick Madrid

    Dates
    350-450

    Founder
    Unknown

    Background to controversy

    Most of the early heresies were Trinitarian and Christological in
    nature, but Collyridianism stood alone as a heresy that sought to
    deify the Blessed Virgin Ma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ovement's
    theology. Not even the names of the group's leaders are mentioned by
    writers of the time. This sect's excessive Marian devotion developed
    into the idolatry of Mary worship. This aberration grew out of the
    Church's rightful veneration of Mary as ever-virgin, Mother of God,
    and powerful heavenly intercessor, but crossed the line of orthodoxy
    when certain Christians began to worship Mary as divine. Details
    about the Collyridians are scanty, but one of the few specifics we
    know of them is that at their liturgical service bread was offered as
    a sacrifice to Mary.

    Principal errors

    The heresy of the Collyridians was very simple: They worshiped Mary.
    This wa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Catholic Church's condemnation
    of idolatry, which had been condemned by God himself: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 You shall not make for yourself a graven
    image, or any likeness of anything that is in heaven above, or that
    is in the earth beneath, or that is in the water under the earth; you
    shall not bow down to them or serve them; for I the Lord your God am
    a jealous God" (Ex. 20:3-5; cf. Deut. 5:7 6:14; 1 Cor. 4:8-6,
    10:19-20; Eph. 5:5). This proscription applies not just to statue
    worship, but to the worship of anything besides God.

    Orthodox response

    It is ironic that the most diligent opponent of the Collyridians was
    Epiphanius (315- 403), the bishop of Salamis. He was widely renowned
    for his learning and holy asceticism and was a close friend of
    Jerome, but he was also a rude and querulous man who garnered many
    enemies, some of whom were fellow bishops.

    Though Epiphanius's efforts to quash the Collyridians were laudable
    and his theological and scriptural reasoning against their idolatry
    was sound, he himself was not free from error in the area of honoring
    God's friends. The vehemence of his opposition to the Collyridians'
    idolatry was rivaled by his fanatical opposition to icons.

    In a description that is reminiscent of certain modern-day
    Fundamentalist foes of Catholic Marian doctrines and of venerating
    icons and images, patristics scholar Aloys Dirksen, C.P.P.S.,
    describes Epiphanius as having a "fiery temperament and unreasonable
    impetuosity . . . that made the calm objectivity necessary for
    scholarly work impossible for him. His narrow-mindedness is apparent
    in the part he played in the Origenist controversy and the violence
    with which he attacked the veneration of images.

    "He considered this idolatry, and in his testament he anathematized
    anyone who would even gaze upon a picture of the Logos-God. His
    temperament made him suspicious of heresy everywhere, and he made
    capital of even the smallest inaccuracy of statement. It appeared
    impossible for him to see any viewpoint but his own. Since he lacked
    critical acumen and was a poor, even a tiresome writer, his works
    would be of little value if it were not for his many quotations [of
    others]. He thus saved much that would otherwise have been lost to
    us" (Elementary Patrology [St. Louis: Herder, 1959], 117).

    Epiphanius wrote against the Collyridians in his most important
    apologetic work, Panarion (Medicine Box [374-377]), a tour-de-force
    refutation of over eighty heresies known to him. He refuted the two
    extreme and diametrically opposed Marian heresies of his day,
    Collyridianism (which overly exalted Mary) and Antidicomarianitism,
    an Arabian movement that debased Mary's status and virtues, to the
    point of claiming "that holy Mary had intercourse with a man, that is
    to say, Joseph, after the birth of Christ" (Panarion 78:1).

    The Collyridians were primarily women who developed a syncretistic
    combination of Catholicism and pagan goddess cult customs. After
    describing the "awful and blasphemous ceremony," in which they adorn
    a chair or a square throne and spread a linen cloth over it for their
    ritual, Epiphanius writes, "Certain women there in Arabia have
    introduced this absurd teaching from Thracia: how they offer up a
    sacrifice of bread rolls in the name of the ever-Virgin Mary, and all
    partake of this bread" ( 78:13). He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Mary and God: "It is not right to honor the saints
    beyond their due" (ibid. 78:23); "Now the body of Mary was indeed
    holy, but it was not God; the Virgin was indeed a virgin and revered,
    but she was not given to us for worship, but she herself worshiped
    him who was born in the flesh from her.... Honor Mary, but le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e worshiped, but let no one
    worship Mary, . . . even though Mary is most beautiful and holy and
    venerable, yet she is not to be worshiped" (ibid. 79:1, 4).

    With Epiphanius we can say that anyone who worships Mary or any other
    creature is committing idolatry and must be rebuked. We should look
    to Scripture, at the case of the angel who rebuked John for his
    temptation to idolatry, to see how to admonish modern-day
    Collyridians: "At this I fell at his feet to worship him. But he said
    to me, 'Do not do it! I am a fellow servant with you and with your
    brothers who hold to the testimony of Jesus. Worship God!'" (Rev.
    19:10). No doubt, our Lady herself would say this to any who would
    seek to worship her.

    Modern parallels

    Collyridianism is seen today in various forms. Those "hyper-Marian"
    groups and writers who overly exalt Mary and focus on her to the
    exclusion (or near exclusion) of Christ are guilty of something
    approaching idolatry. Modern feminism is the source of a recycled
    Collyridianism that worships a "mother goddess" and seeks to
    "re-image" God in female terms.

    This article was taken from the October, 1994 issue of "This Rock,"
    published by Catholic Answers, P.O. Box 17490, San Diego, CA 92177,
    (619) 541-1131, $24.00 per year.

    -------------------------------------------------------------------
    The electronic form of this document is copyrighted.
    Copyright (c) Trinity Communications 1994.
    Provided courtesy of:

    The Catholic Resource Network
    Trinity Communications
    PO Box 3610
    Manassas, VA 22110
    Voice: 703-791-2576
    Fax: 703-791-4250
    Data: 703-791-4336

    The Catholic Resource Network is a Catholic online information and
    service system. To browse CRNET or join, set your modem to 8 data
    bits, 1 stop bit and no parity, and call 1-703-791-4336.
    -------------------------------------------------------------------
     

     

     

    이용섭
    54년 부산 생, 프리랜서, 전 월간 <시사정경> 객원기자,
    전 월간<월드 코리아> 객원기자(차장대우), 전 월간<선택> 객원기자(차장),
    <저서>
    1. 로마천주교회와 알베르토리베라, 2. 교황제도에 대한 교회사적 비판, 3. 탁명환, 그는 과연 누구인가,
    4. 목사님, 정신차리소!(조용기목사의 신앙관 해부), 5. 여의도의 바벨탑, 수필, 칼럼, 논문 다수 발표
    출처 : 양무리마을
    글쓴이 : 바로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