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EPORT.CO.KR |
|
|
|
![]() |
▼ 상세내용 |
소개글 | MRSA 자료 |
목차 | MRSA균의 특징 MRSA균의 전파경로 세균의 반격 세균들의 반격(1) ###감염관리지침서원주기독병원 ★병원감염 관리 MRSA균과 항생제 MRSA 환자관리 1. MRSA 란 무엇인가? 2. MRSA의 전파경로 |
본문 | 병원감염 관리 MRSA 감염 (1) 역학적 특성 -가. 병원체 및 전파 방법 ① 병원체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란 황색포도균(S. aureus)중에서 methicillin이라는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균주를 말한다. 초기에는 methicillin에만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그 후 cephalosporin계를 포함한 대부분의 β-lactarm계 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이고 있다.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정착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객담, 창상 부위, 혈액, 소변등 모든 검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피부의 정상 방어기전이 손상된 수술 환자나 화상 환자에게 잘 정착하여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기 쉽다. 일반인 보다 의료인이 비강내의 정착율이 높다. ② 전파방법 ⓐ 정착화 또는 감염된 환자로부터의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자와 접촉한 의료인이 다른 환자나 물품을 오염시킴으로 전파하게 된다. 호흡기 감염이나 정착화된 환자의 비말을 통한 전파도 가능하다. ⓑ 정착화나 감염된 병원직원으로부터의 전파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 수술기구, 의료기구 등과 같이 환경을 통해서 전파되기도 한다. |
태그 | MRSA, 황색포도 상구균, 병원 세균, 포도 상구균 |
|
'필 요 한 것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Parent's Guide to MRSA (Korean) - Health Services & School ... (0) | 2008.10.27 |
---|---|
MRSA와 병원감염 (0) | 2008.10.27 |
[스크랩] 엔아이티 (0) | 2008.10.27 |
중환자실내 호흡기 감염 감소 전략 (0) | 2008.10.27 |
소아 로타바이러스 원내 감염의 위험 인자 (0) | 2008.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