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년간의 침묵기
구약 최후의 예언자 말라기(BC 400경) 이후 예수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정경형성의 필수적 요건이 되는 하나님의 계시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히브리 정경을 한정하고 완성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AD 1세기 말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에 의하면 그 일은 아닥사스다 1세(BC 465-424년) 통치하에서 이루어졌다.
중간시대의 사건
연대(BC) |
유 대 사 |
세 계 사 | |
424-331년 359-323년 338-323년 323-277년
198년 167-165년 |
구약 마지막 예언자. 말라기 페르시아 총독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소관구 팔레스타인은 다메섹 또는 사마리아에 수도를 둔 페르시아 제5관구 지경 내에 있었다. 유대인들은 페르시아 대군주 치세하에 비교적 평화와 번영을 누렸다. 알렉산더의 정복으로 그리스 언어.문화.철학이 유포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2세'는 유대인들에게 우호적이었다. 구약의 헬라어 번역Septuagint.. 70인역)작업이 시작되었다. 셀류코스 통치하의 팔레스타인 대왕 '안티오쿠스 3세'는 팔레스타인에서 애굽인을 추방시켜 이를 셀류코스제국에 병합하였다. 집회서가 기록되었다(BC 180년경). 유대인들의 헬레니즘화가 강요되었다. |
페르시아제국 크세르크세스 2세(BC 424-423년) 다리우스 2세(BC 423-404년) 아닥사스다 2세(BC 404-358년) 아닥사스다 3세(BC 358-338년) 아르세스(BC 338-336년) 다리우스 3세(BC 336-331년) 마케도니아제국 필립(BC 359-336년)이 그리스 도시국가의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캐로네아(BC 338년)의 승리. 그리스의 도시국가 세력이 파괴되었다. 알렉산더 대왕(BC 336-323년)은 3차에 걸친 결정적인 전쟁, 즉 그라니코스(BC 334년), 잇소스(BC 333년), 가우가멜라(BC 331년) 전투를 통하여 페르시아제국을 점령하였다. 영토는 인도까지 이르렀다(BC 327년). 바벨론에서 죽었다(BC 323년) 알렉산더 휘하의 장군들은 권력다툼을 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류코스제국 | |
프톨레마이오스 1세 (BC 323-285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애굽이 로마제국의 한 지방으로 편입(BC 30년)되기까지 로마 지배하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
셀류코스 1세 (BC 312-280년) 안티오쿠스 1세 안티오쿠스 2세 셀류코스 2세
셀류코스 4세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안티오쿠스 5세 데메트리우스 1세 | ||
166-134년 134-104년 104-69년 62-41년 40-4년 |
하스모네가 통치하의 팔레스타인 (BC 166-163년) '유다'(BC 166-160년)는 수리아 군대를 격퇴시킴으로 성전을 정결케 하여 재봉헌하였다(BC 166, 165년). '요나단'(BC 160-142년)은 외교적 군사적인 면에서 유대 독립을 위한 장족의 진보를 가져왔다. '시몬'(BC 142-134년)은 유대 독립(BC 142-63년)시대의 서장을 열었다. 예루살렘에서 수리아 주둔군을 축출시켰고 게셀과 욥바 지역을 점령하였다. 마카베오상서.토비트서.유딧서 70인역의 완성(BC 150년경) 시몬의 아들, '요한 히르카누스'(BC 134-104년)는 정복사업을 시작하여 갈릴리 하부에서 네겝에 이르고 지중해에서 나바테야에 이르는 소제국을 통치하면서 요단서편과 사마리아(그리심산 성전의 파괴), 에돔을 정복하였다. 필로.요세푸스.플리니우스와 사해 두루마리를 통해 알려진 에세네파와 유대교의 2대 교파(바리새파와 사두개파)의 발생 요한 히르카누스의 아들, '아리스토불루스 1세'(BC 104-103년)는 통치 직후 죽었다. 무자비한 정복자 '알렉산더 얀나이우스'(BC 103-6년)는 바리새파를 이간시킴으로써 하스모네가 왕조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알렉산더 얀나이우스의 처 '알렉산드라'(BC 76-67년)가 지배자가 되었다. 바리새파의 황금시대 솔로몬의 지혜서, 시빌 신탁서, 에녹서, 요벨서, 마카베오하서가 기록된 것으로 추측된다. 아리스토불루스 2세(BC 66-63년)는 폐위되어 로마로 송치되었으며 폼페이우스의 승리를 빛내어 주었다 '폼페이우스'는 팔레스타인을 로마 통치하에 두었고, 트랜스 요르단에 유다의 세력과 비등한 데가볼리(10도시)동맹을 조직하여 유다를 약화시켰다. 로마인 지배하의 팔레스타인 |
데메트리우스2세와 알렉산더 발라스의 왕위 투쟁 알렉산드리아 발라스(BC 150-145년) 데메트리우스 2세(BC 145-139년)는 시몬을 대제사장으로 인정하였으며, 실제로 유대인들의 완전 독립을 승인하였다(BC 143년). 안티오쿠스 7세(BC 139-134년)는 유다를 침략하고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과중한 공물을 강요하였으나 그가 죽음으로써(BC 134년) 사실상 셀류코스의 팔레스타인 지배는 그 종식을 고하였다. 폼페이우스가 이 지역을 로마의 한 지방으로 만들기까지 무력한 수리아 왕국의 통치는 계속되었다. 사해 북서 해안에 있는 에세네파의 본부 키르벳 쿰란이 BC 110년경에 설립되어 대략 BC 37년까지 번성하였다. 대다수의 사해 두루마리의 연대는 이 시대나 그 이후로(BC 1년경-AD 70년) 추정된다. |
'성경신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관주성경 (신약) (0) | 2008.04.03 |
---|---|
[스크랩] 신 구약 알기쉬운 성경개관 (0) | 2008.03.31 |
[스크랩] 화목제와 신약 예배 / 김기찬 (전주: 한사랑교회 목사) (0) | 2008.03.06 |
[스크랩] 사사일람표 / 펌 (0) | 2008.03.03 |
[스크랩] 모세오경과 하나님나라2-창세기1-3장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