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자료

[스크랩] (5)구연직 (具然直)-일본기독교조선교단

baromi 2006. 2. 14. 13:28

구연직 (具然直)

 

http://geojetimes.co.kr/news/read.php?idxno=5139&rsec=S1N6&section=S1N6

 

일본교단 조선장로회, 일본군 '비행기 헌납'에 나서
[친일단체 바로알기 9]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과 일본교단 조선장로회

 

전갑생 jkh2000kr@hanmail.net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日本基督敎 朝鮮長老敎團)은 1943년 5월 7일 신문내교회당에서 창립총회를 열었다. 1945년 7월 19일 '일본기독교 조선교단'으로 통합되었다.


교단은 기독교계 교파합동의 실패와 일본기독교 혁신교단의 설립에 충격을 받아 각 노회장으로 구성된 총회 상치위원회의 결의만으로 불법적으로 조선예수교장로회를 해체하고 조직한 교단이며,  평북노회만 참여하지 않았다.

 

이 조직에 참여한 인사들은 통리 채필근(佐川弼近), 부통리 전필순(平康米洲), 교구장  김길창(경남)·조승제(趙村昇濟, 전남)·구연직(具道信夫, 충청)·김세열(전북)·정순모(河東順模, 제주), 총무 김종대(金子鍾大), 국장 김영삼(전도) 등이다.


주요 활동을 보면, 1943. 5. 26 장교단 용 신편 곡조찬송가(수정판) 발행. '국가(기미가요)' '우미유카바' '국민서사' 수록, 1943. 7. 14  평북노회장 금성진수(김진수)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부인, 총회장 탄핵통고문발송, 1943. 8. 18 김해장로교회 목야호차 전가인선(전인선) 목사 초청 시국대종교강연회 개최, 1943. 8. 25 신편찬송가 수정판 206장곡 불창처분 곡 어메리카 "피난처 있으니", 1943. 10. 25. 평북노회장 금성진수(김진수) "감사절에 관한 건" 징병제실시감사예배 실행하였다.

 

또한 1944. 1 .12. 조선예수교장로회 평북노회장 금성진수 "긴급 실행해야 할 애국사업에 관한 건" 제2차 애국기헌납금 모집의 건, 징병제실시에 따른 국민태세를 정비하는 운동에 관한 건,  1944. 6. 23.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 대표 좌천필근 조선군애국부 방문 10만 3천 원, 휼병금 2천53원 53전, "애국기 1대 조선장로제2호기 육군에" 헌납, 1944.06. 26. 부민관 영미격멸종교단체 총궐기대회 개최 신도대표 2천명 참가. 기독교장로교 좌천필근 결의 표명하는 연설 등을 하였다.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 國民總力 朝鮮耶蘇敎長老會 總會聯盟)은 1940년 12월 5일 경성부민회관에서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을 해소하면서 결성되었다가, 1945년 7월 19일 '일본기독교 조선교단' 성립으로 해소하였다.


이 단체의 조직에 이사장(총회장)은 곽전근(牧野道雄), 총간사 정인과(德川仁果), 1941년 11월 이사장 최지화( 鐵原志化), 1942년 9월 이사장 김응순(新森一雄), 1943년 5월 이사장 채필근(佐川弼近) 등이 맡았다.


총회연맹의 성격은  국민총력 조선연맹 산하의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연맹. 국민총력 조선연맹의 지시에 따라 각종 행사 및 부일 협력 활동 전개하였다.


주요 활동은 1940. 12. 5.∼6 전선장로회신도대회 개최, 1941. 3. 17. "부여신궁조영근로봉사에 관한 건" 공무 각 노회연맹에 발송, 1941. 4. 29.∼30 서울에서 전선여신도대회 소집, 본부연맹 여자부 결성식, 1941. 6. 3 부산항서교회당에서 경남노회신도대회를 열어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 경남노회 연맹 결성(연맹 이사장 김영환 목사) 시국강연, 1942. 2. 본부 주최로 "대동아전쟁 목적 관철과 기독교도의 책무를 재삼 격려하기 위하여" 5대로 나누어 연사를 파견하여 "지방 시국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1942. 2. 10 총회중앙상치위원회의 지시를 받아 조선장로교신도애국기헌납기성회와 협력하여 육해군에 애국기 1대, 육전기관총 7정의 대금으로 15만 317원 50전을 헌납하고 1942.04. 29. 총회연맹 기관지 (장로회보)는 제118호로 폐간을 선언하고 장·감·성결·구세 4교파 연합으로 기독교신문협회를 조직하고 주간 『기독교신문』을 발행하였다.


1942. 6. 19 애국기헌납기성회에 그후 수입잔금으로 본부 이사장 외 기성회 위원 대표 4인이 조선군사령부를 방문하여 육군환자용 자동차 3대 기금으로 23,221원 18전을 헌납하고, 1942. 9. 20 해군성에 헌납한 '報國機'(비행기) 명명식('조선장로호')을 경성운동장에서 갖고 해군대신의 감사장과 수납서, 헌납 비행기의 사진을 해군성으로부터 받았다.


1942. 10. 10. 1941년 11월 25일부터 1942년 10월 10일까지 (연맹본부에서 받은) 공문은 63통, (하부 연맹에 보낸) 공문은 61통에 이르렀다. 1942. 10. 15. 1941년 12월부터 1942년 10월 15일까지 보고 받은 유기헌납건은 2,165점에 이름. 10월 15일 현재로 헌종상황보고에 의하면 헌종수는 1,540개, 총액 약 119,832원에 이르렀고, 1942.  11. 12. 국민총력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 황군환자용 자동차 3대 헌납식을 조선신궁에서 가졌다.

출처 : 양무리마을
글쓴이 : holyjoy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