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
율법의 요구와 그리스도의 순종과 전가교리
1646년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의 개념 구분)
1658년 사보이 선언(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 용어와 개념 구분)
#그리스도의_능동적순종_이해못하면_빠지는_양극단
반율법주의: 예) 하이퍼칼빈주의
신율법주의: 예) 패더럴비젼, 새관점(전가교리부인)
#반율법주의_신율법주의_모두_그리스도의_능동적순
#그리스도의_능동적순종에_대해_정이철목사가_질문하고_김병훈교수가_답하다.
#정이철목사:2019.02.14 09:17:10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은
그의 수동적 순종이 하나님께 받음직하게 되도록,
곧 하나님의 열납 대상이 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거 맞지요?
.
#김병훈교수:2016년 4월 12일
먼저 생각할 것은 #죄인들이_영생을_얻는_일에_있어서
#그리스도의_율법의_순종이_필요한가에_관련한_토론의_초점은
그리스도께서 대리속죄를 위한 희생제물로서
무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과 #관련한_것이_아니라는_점입니다.
아무도 이 점과 관련하여 부인을 하지를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만일 율법에 불순종하는 일을 행하신다면 속죄를 위한 희생제물의 자격을 상실하게 될 것은 분명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즉
#자신의_영생을_위하여서는_불필요한_율법의_의를_이루신_까닭은 #그리스도께서_자발적인_의지를_따라_하나님_아버지께서_자신에게_주신_죄인들에게_영생을_주시는_보증인으로_행하시기를_바라셨기_때문입니다. 이처럼 그리스도께서 보증인으로 율법 아래에서 순종을 하신 것을 가리켜서 ‘능동적 순종’이라고 말합니다.